올림픽 공동개최-단일팀 첫발 뗐지만…여전히 험난한 스포츠 코리아의 길

입력 2019-02-17 14: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사진제공|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세계 평화의 상징이 될 스포츠 코리아가 첫걸음을 성공적으로 시작했다.

2032하계올림픽 (서울-평양) 공동개최를 추진 중인 남북이 15일(한국시간) 스위스 로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본부에서 3자 회담을 갖고 2020도쿄올림픽에 여자농구와 여자하키, 조정, 유도 4종목에 단일팀을 보내기로 합의했다. 또 남북 선수단은 도쿄대회에 공동 입장한다.

이날 문화체육관광부 도종환 장관, 대한체육회 이기흥 회장, 북한 김일국 체육상과 자리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남북의 올림픽 공동개최 제안은 역사적인 일”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다만 꿈이 현실이 되기까지 갈 길은 멀고도 험난하다.


● 올림픽 공동개최 환영하는 IOC, 걸림돌은 무엇?


IOC는 기본적으로 남북의 올림픽 공동개최를 환영하는 입장이다. 바흐 위원장도 “올림픽 정신의 상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추이는 가늠키 어렵다.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남북-IOC 3자 회담에 앞서 북한을 국제도핑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비준수 단체’로 지정하는 한편 회원자격을 박탈했다. 북한이 자체 시행한 도핑테스트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지난해 9월 WADA는 4개월 이내에 도핑테스트 프로그램 등에 대한 위반 사항을 시정하지 않으면 ‘비준수 단체’로 분류하기로 했다. 1월 말 기한이 지났음에도 북한이 위반 내용들을 바꾸지 않자 WADA는 북한 측에 ‘비준수 단체’ 분류를 통보했다.

정부는 북한에 대한 WADA의 결정에 “향후 규약을 잘 지키면 (올림픽 공동개최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나 불안한 시선이 많다. 전통의 스포츠 강국인 러시아도 2016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을 앞두고 도핑문제로 큰 홍역을 치렀다.

당시 바흐 위원장도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IOC 회원국 내에서 사퇴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결국 IOC는 북한에도 다른 국가들과 동일한 잣대를 들이댈 수밖에 없다. 더욱이 호주 브리즈번과 중국 상하이, 인도네시아 등이 2032년 올림픽 개최를 희망하고 있어 거센 반발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남북에 특혜를 줄 수도 없다.


● 도쿄올림픽 남북 단일팀, 본선까지 첩첩산중

도쿄올림픽에 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팀이 구성된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에 여자 아이스하키,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에 여자농구와 카누, 조정에서 ‘원 팀’을 이룬 남북은 도쿄에 4종목 선수단을 전부 출전시키기를 희망한다. 물론 치열한 과정을 통과해야 한다. 올림픽 예선이 여자농구와 여자하키를 기다린다.

12개국이 본선에 참가할 농구는 3차례 예선을 거친다. 9월 열릴 아시아컵 8강에 합류해야 11월 프레올림픽 퀄리파잉(2차 예선) 출전 자격을 얻고, 이 대회 4강에 올라야만 내년 2월 최종예선으로 향한다. 각 대륙의 16개국이 경쟁해 이 중 12개국이 본선으로 가는데 미국과 개최국 일본은 이미 본선행을 확정해 실제 티켓은 10장이다.

14개국에 본선 자격이 주어질 하키는 6월 국제하키연맹(FIH) 시리즈 파이널에 걸린 6장 티켓 확보를 1차 목표로 한다. 우리가 올림픽 쿼터를 먼저 확보한 뒤 단일팀을 구성하는 안을 고민했으나 선수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예선부터 단일팀을 보내기로 했다. 이르면 4월부터 충북 진천선수촌에서 합동훈련을 한다.

지난해 아제르바이잔 세계선수권부터 (혼성단체전) 단일팀을 꾸렸던 유도는 출전쿼터를 각자 확보한 뒤 혼성단체전에 단일팀을 이루는 방안을 택했다. 대한유도회는 6월 동아시아선수권과 8월 일본 오사카 세계선수권을 앞두고 국내 합동훈련을 계획했다.

작년 아시안게임 때 남북이 함께 땀 흘린 조정은 세부종목 결정이 먼저다. 이후 8월 올림픽 쿼터가 주어질 오스트리아 세계선수권을 대비한다. 하지만 남북의 실력이 부족한 단체전 위주의 단일팀이 결성될 가능성이 높아 올림픽 본선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평가다.

남장현 기자 yoshike3@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