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4.13
장남은 밀정 처단·차남은 밀정 정보원…독립운동가 이석영의 안타까운 가족사[2021-03-01 16:04:00]
1934년 중국 상해의 냄새가 지독히 역한 빈민가의 어느 다락방에서 80세 노인이 끼니도 제대로 잇지 못한 채 숨졌다. 숨진 노인이 가진 재산이라고는 중국식 ‘뢰이푸상세이(藍布上衫)’ 1벌 뿐이었다. 현지 언론이 취재한 바 그토록 쓸쓸하게 세상을 떠난 노인은 조선의 거부(巨富)이…
독립운동 박사논문 작년 단 2편… 의병들이 운다[2021-03-01 03:00:00]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는 해였던 2019년, 국내 독립운동사를 다룬 박사학위 논문 6편이 심사를 통과했다. 다시 말하면 국내 독립운동사를 연구하려는 신진 연구자가 6명 배출됐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는 ‘100주년 반짝 특수’ 성격이 있었다. 2019년을 전후해…
‘만세운동’ 철사줄에 매달아 끌고 간 일제…어머니가 고발했다[2021-02-25 12:23:00]
국가기록원은 3·1절 102주년을 맞아 김해시의 독립운동 기록인 ‘김승태 만세운동가’를 복원했다고 25일 밝혔다. ‘김승태 만세운동가’는 장유만세운동을 주도한 김승태 독립운동가의 모친인 조순남 여사가 1년에 걸쳐 직접 보고 겪은 실상을 내방가사(조선시대 양반 집안의 여성들 사이에…
고려 태조 왕건이 세운 ‘나주 흥룡사(興龍寺) 터’ 600년 만에 발견[2021-02-25 10:16:00]
고려 태조 왕건이 혜종(고려 2대왕)을 낳은 나주 오씨 장화왕후(莊和王后)를 위해 나주 영산포 산기슭에 지어준 ‘흥룡사(興龍寺)’ 터가 600여년의 긴 잠에서 깨어났다. 600여년이란 추정 근거는 1428년 8월 세종실록에 따르면 ‘나주에 소장한 혜종(고려 2대왕)의 진영과 소상(흙…
130년 된 태극기는 어떻게 생겼을까 [청계천 옆 사진관][2021-02-23 13:58:00]
국립중앙박물관이 제102주년 3·1절을 맞아 국내에 보관된 태극기 중 가장 오래된 ‘데니 태극기’를 23일 공개했습니다. 이 태극기는 조선 제26대 왕 고종이 대한제국 외교고문을 지낸 미국인 오언 데니(1838~1900)에게 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데니는 청의 부당한 내정간…
국내 最古 ‘데니 태극기’ 내달 8일까지 볼 수 있다[2021-02-23 03:00:00]
올해 3·1절을 맞아 국내에 보관된 태극기 중 가장 오래된 ‘데니 태극기(사진)’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개된다. 전시 기간은 23일부터 다음 달 8일까지 2주다. 이 태극기는 고종이 대한제국 외교고문이던 미국인 오언 데니(1838∼1900)에게 1890년 하사한 것이다. 데니는 1…
정부, ‘다케시마의 날’ 행사 항의…주한 日총괄공사 초치[2021-02-22 15:56:00]
외교부가 22일 일본 시네마 현이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이름)의 날’ 행사를 개최한 데에 대해 “행사를 즉각 폐지하라”며 항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독도에 대한 부질없는 도발을 반복하고 있는데 대해 강력히 항의하며, 이 행사를 즉각 폐지할 것…
휘영청∼창경궁에 뜨는 보름달 구경 오세요[2021-02-22 03:00:00]
문화재청은 이달 26일 정월대보름을 맞아 서울 종로구 창경궁 풍기대(風旗臺) 주변에 보름달 모형을 띄우는 ‘궁궐에 내려온 보름달’ 행사를 24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진행한다. 풍기대는 조선시대 때 깃발을 세워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한 기상 관측기구다. 현존하는 풍기대는 창경궁과 …
“백제시대 때 대형 항아리로 세금 냈다”[2021-02-22 03:00:00]
백제시대 때 큰 항아리를 조세로 납부한 사실을 추정케 하는 고고학 증거가 처음 발견됐다. 백제에서도 이른바 공납제(貢納制·각 지방 특산물을 국가 조세로 걷는 것)가 시행된 사실을 뒷받침하는 근거다. 이병호 공주교육대 교수는 최근 발표한 ‘부소산성 출토 명문 토기에 대한 검토’ 논문에서…
일본 스스로 독도가 한국령임을 인정하는 고지도 나왔다[2021-02-19 14:50:00]
경상북도 출연기관인 독도재단은 일본 스스로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인정하는 고지도 200여점이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독도재단이 지난 해 4월부터 10월까지 동북아역사재단과 국토지리정보원 지도박물관, 국회도서관, 국립해양박물관, 독도박물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백자실’ 통합해 공개[2021-02-19 03:00:00]
국립중앙박물관이 기존 분청사기실과 백자실을 합쳐 1년 동안 리모델링한 ‘분청사기·백자실’을 18일 열었다. 분청사기(粉靑沙器)는 회청색 흙으로 만든 그릇에 백토를 입힌 뒤 장식한 도자기. 고려 말 상감청자(상감기법으로 무늬를 넣은 청자)에서 비롯됐다. 백자(白磁)는 1300도가 넘는 …
조선 궁중화원은 왜 淸 황제의 사냥을 그렸을까[2021-02-19 03:00:00]
깊은 산속으로 중국 청나라 황제의 긴 행렬이 지나간다. 황후가 탄 화려한 수레 앞으로 말을 탄 병사들이 거대한 나발을 불며 사슴을 부른다. 활과 화살로 무장한 수행원들 가운데로 하얀 용이 새겨진 가죽옷을 입은 황제가 위풍당당하게 말을 타고 있다. 그 앞으로 활과 창을 겨눈 병사들이 호…
中환추스바오, ‘반크’에 시비…“중국 겨냥한 공격 거칠고 무모”[2021-02-18 11:54:00]
중국 관영 환추스바오가 한국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표출했다. 18일 환추스바오는 “한중 양국 모두 사이버 여론과 민간 정서 사이에서 발생한 소음을 잠재우기를 바라고 있는데 일례로 작년 말 ‘김치 논쟁’은 거의 잠잠해졌다”면서 “그러나 문제를 일으키는 …
하버드 출신 美교수 “2차대전 두둔 日 추한 모습, 램지어로 부활”[2021-02-18 11:11:00]
“2차 세계 대전 당시 행위를 두둔하는 일본의 추한 모습이 2021년에도 다시 한번 고개를 들고 있다.”푸른 눈의 미국 하버드대 석·박사 출신 한국학 전문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라고 깎아내린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논문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에 나섰다.문화체육…
24m 조선왕실 문서 ‘이십공신회맹축’ 국보 지정[2021-02-18 10:01:00]
조선 시대에는 공신회맹제가 있을 때마다 어람용 회맹축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1910년까지 문헌을 통해 전래가 확인된 회맹축은 3건에 불과하다. 1646년(인조 24)년과 1694년(숙종 20) 제작된 회맹축, 1728년(영조 4) 분무공신(奮武功臣) 녹훈 때의 회맹축 등이다. …
삼국시대 ‘금동신발’ 국가 보물 지정 예고[2021-02-17 03:00:00]
삼국시대 부장품인 5세기 백제의 금동신발 2점(사진)이 보물로 지정된다. 금동신발은 귀고리, 목걸이, 팔찌 등과 함께 고대 무덤에 부장된 대표적인 금속 공예품이다.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건 처음이다. 16일 문화재청은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
광화문에 걸린 문배도 “코로나 물러가라”[2021-02-15 03:00:00]
14일 서울 경복궁 광화문에 걸린 문배도(門排圖) 앞에서 사진을 찍는 시민들. 문배도는 나쁜 기운을 몰아내기 위해 문에 붙이는 그림으로, 조선시대 궁궐에서 사용했고 조선 후기 민간에도 널리 퍼졌다. 문화재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극복 염원을 담아 설 연휴인 11∼14일 조선시대…
軍 “日 독도 침공 시나리오, 공식입장과는 무관”[2021-02-14 18:44:00]
군 당국이 일본 자위대의 독도 침공 시나리오와 우리 군 대응전력 등을 명시한 문건을 지난해 12월 국회에 보고했다는 본보 보도를 인정하면서도 이 문건이 “군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14일 군은 “문건의 관련 내용은 2012년 일본의 모 잡지에 게재된 내용을 번역해 …
서경덕 “오늘은 안중근 의사 사형 선고일…밸런타인 데이와 같아, 꼭 기억을”[2021-02-14 09:24:00]
우리나라 역사 알림이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4일, “오늘은 안중근 의사가 사형선고를 받은 날이다”며 후세들이 꼭 기억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서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아무쪼록 사형선고일 뿐만이 아니라,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일(10월 26일)과 서거일(3월 26일)도 함…
“韓, 日 독도 침공 대응전력 마련” 보도에…日 “우리 땅”[2021-02-12 19:07:00]
한국군이 일본 자위대의 독도 침공 작전을 방어할 대응전력 관련 문건을 작성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일본이 또 독도 영유권을 주장했다. 12일(현지시간) 산케이신문 등에 따르면 기시 노부오(岸信夫) 일본 방위상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한국 측에 분명히 항의했다고 밝혔…
공약은 알게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시킬것인지 써있지가 않다. 초등학생도 계획표인가?
부동산 등기 특별법 제정 촉구
국민연금을 갖고 표심을 얻으려는 야권
정리해고 요건강화
정치도 제대로 된 공부와 연구를 하는 국민대표의 장을 만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