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수사 중 자살’ 1주일새 4명…왜?

입력 2011-06-21 13:45:33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최근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던 공직자나 사회지도층, 혹은 유명 인사들이 잇따라 자살하며 재발 방지를 위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문화일보가 보도했다.

문화일보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예방을 위해 이들에 대한 수사 당국의 철저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집중적 관리 방안이 연구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20일 공금 횡령 혐의를 받던 경북태권도협회 최모(48) 전무와 강원 인제군에서 뇌물 수수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던 공무원 김모(50) 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에 앞서 건설현장식당(일명 함바집) 비리 의혹 수사선상에 있던 임상규(62) 전 농림부 장관, 횡령 혐의로 조사를 받던 김기훈(47) 전남문화산업진흥원장 등이 최근 1주일 사이에 잇달아 생을 마감했다.

전문가들은 수사기관의 수사를 받언 공직자나 지도층 인사들이 자살을 선택하는 것은 그동안 자신이 쌓아 왔던 명예가 일순간에 실추되는 데 대한 불안감 및 거부감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곽대경(경찰행정학) 동국대 교수는 "자살은 사회적 명성을 쌓은 사람들이 주로 하고 여러 차례 수사를 받기보다는 처음 수사를 받기 시작한 사람에게서 나타난다"고 말했다.

수사시관 내부에서 혐의 사실을 밝혀내기 위해 수사 기법처럼 행해지는 강압적인 수사 또한 자살 발생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과거처럼 물리적인 폭력 행사는 많이 줄었지만 심리적인 압박감이나 모욕감을 줘 자백을 끌어내는 수법이 유행하면서 피의자들이 느끼는 정신적 타격이 크다는 것이다.

소환을 하고는 아무런 조사도 진행하지 않는다거나 정작 본인은 놔두고 주변 인물에 대한 조사를 계속하면 당사자들은 심한 좌절감과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럴 경우 피의자들은 자살이 자신의 결백을 입증할 수 있다는 유혹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피의자들을 수사 이외의 시점까지 관찰하고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및 주변 인물들의 관심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디지털뉴스팀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