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척추관협착증 수술, 양방향 척추내시경으로 부담 완화 [건강 올레길]

입력 2023-09-26 11:19: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이진영 원장

이번 추석은 이례적으로 긴 연휴를 보낼 수 있어 오랜만에 찾아뵙는 부모님의 건강을 체크해 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특히 허리가 굽고 조금 걷다가 다리가 아프고 저려서 자꾸 쉬신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바로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을 말한다. 나이가 들고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면 척추 주변의 황색 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척추관과 추간공, 신경근관이 좁아지는데, 이때 이 공간을 지나가는 신경이 압박되면서 통증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허리 통증 하면 허리디스크를 먼저 떠올리기 쉽지만 60대 이상 고령자일 경우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높다.

주된 증상으로는 허리 통증은 물론 허벅지와 엉덩이까지 통증이 발생한다.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저리고 터질 것 같은 통증이 발생하면서 오랜 시간 걷는 것이 힘들어진다. 또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통증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어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은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고 걷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증상이 경미한 초기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안정을 취하면 통증이 완화되는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하지만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인 만큼 치료를 미루면 통증이 심해지면서 노년기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하다.

증상이 경미한 척추관협착증 초기라면 도수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 비수술 치료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반면 비수술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거나 협착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과거에는 전신마취 후 3~4cm 피부를 절개하는 미세현미경 수술을 진행했다. 하지만 광범위한 피부절개와 근육 박리로 인해 통증이 오래 지속되고 회복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어 불편함이 많았다.

다행히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양방향 척추내시경 수술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양방향 척추내시경 수술은 5mm 정도의 작은 구멍 2개를 뚫고 한쪽에는 40배까지 확대 가능한 내시경을 넣고, 다른 쪽에는 치료 기구를 넣어 통증을 유발하는 병변을 제거하는 치료법이다.

대찬병원 이진영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양방향 척추내시경은 수술 시간은 1시간 내외로 진행되며 회복이 빨라 환자의 만족도가 높은 수술이다”며 “전신마취가 아닌 척추마취로 수술하여 고령의 환자 및 기저질환이 많은 분들까지 적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수진 기자 sujinl22@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