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전 런던올림픽대표팀과 비교하면…연령 0.5세 어려지고 국내파 선수 늘었다

입력 2016-06-28 05:45: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런던올림픽 당시 축구대표팀. 사진=ⓒGettyimages이매진스

홍명보 감독(현 항저우)이 지휘봉을 잡은 4년 전 런던올림픽에서 올림픽축구대표팀은 사상 첫 메달 획득(3위)의 위업을 달성했다. 2016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 출전할 ‘신태용의 아이들’이 받는 부담이 크다. 더욱이 역대 최약체란 불편한 시선마저 있다. 틀린 이야기는 아니다. 실제로 런던올림픽 멤버 다수는 잘 키워진 ‘황금세대’로, 2014브라질월드컵을 거치며 A대표팀의 주축으로 활약 중이다. 그러나 축구는 이변의 스포츠다. 상대적으로 스포트라이트가 덜하기에 감동이 더욱 커질 수 있다. 4년새 어린 태극전사들은 어떻게 달라졌고, 또 어떤 차이가 있을까.

23.1세 vs 22.6세

일단 연령이 낮아졌다. 리우올림픽에 나설 18명의 평균 나이는 22.6세다. 런던올림픽(23.1세)보다 0.5세 가량 어려졌다. 24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3장의 와일드카드 구성에서도 큰 차이가 보인다. 런던대회 때는 박주영-김창수-정성룡 등 와일드카드 3명이 전부 1985년생이었다. 당시 기준 27세. 반면 리우올림픽에는 2명이 25세(석현준·장현수), 1명(손흥민)이 24세로 크게 젊어졌다. 또 최연소 선수도 있다. 20세의 황희찬이다. 런던 때는 20세 선수들은 없었고, 1991년생(당시 21세) 3명(지동원-남태희-백성동)이 출전했다.

해외파 vs 국내파

와일드카드를 포함해 런던대회 때는 10명의 해외파가 있었다. 이 중 4명(박주영-지동원-기성용-구자철)이 유럽에서 뛰고 있었다. 일본이 4명(정우영-백성동-김보경-황석호), 중국(김영권)과 카타르(남태희)가 1명씩이었다. 리우올림픽 최종 엔트리에서 해외파는 7명인데, 유럽리거들은 4명(황희찬-석현준-손흥민-류승우)으로 4년 전과 같지만, 일본(송주훈-구성윤)과 중국(장현수) 등 아시아권에서 차이가 났다. 국내파(11명)의 비중이 크게 높아진 것이다.


● 미드필더 vs 수비진

포지션 분배도 흥미롭다. 골키퍼만 2명씩으로 같을 뿐 수비진과 중원, 공격수의 숫자는 약간 다르다. 신태용(46) 감독은 리우올림픽을 위해 공격수 3명을 뽑았다. 이곳에만 와일드카드 2장이 투입된 것이 흥미롭다. 그만큼 ‘해결사’에 목이 마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밖에 미드필더 6명, 수비수 7명을 선정했다. 손흥민이 최전방과 공격 2선까지 소화할 수 있는 ‘멀티 자원’임을 고려한 포석으로 보인다. 런던올림픽에는 공격수가 원톱을 책임질 수 있는 2명(박주영-김현성)이었고, 미드필더와 수비진에는 각각 8명과 6명이 선발됐다. 특히 신 감독과 홍 감독 모두 베테랑을 수비라인에 투입해 안정을 우선시했다.

남장현 기자 yoshike3@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