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여러장 분실해도 전화 한통이면 끝

입력 2016-10-05 05:45: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8개 카드 회사·11개 은행 중
한곳에만 신고해도 일괄처리

요즘 지갑에 카드 한두 장 이상 가지고 다니는 것은 보통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갑을 잃어버렸거나 도난사고가 났다면 복잡해진다. 그동안에는 일일이 카드회사로 전화를 걸어 분실신고를 해야 했다. 이제는 그런 번잡스러운 일이 전화 한 통화로 간단하게 해결된다.

금융위원회는 8개 카드회사(롯데카드, 비씨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와 11개 은행(경남은행, 광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수협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한국씨티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SC제일은행) 등 19개 회사에서 신용인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가족카드 등 여러 장을 분실했을 때 전화 한 번으로 해결하는 ‘신용카드분실 일괄 신고서비스’가 5일부터 실시된다고 했다.

소비자는 분실한 신용카드의 회사 가운데 한 곳의 분실 신고센터에 연락할 때 다른 금융회사의 카드도 함께 분실신고를 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카드의 분실신고 때 공과금 등을 자동이체로 설정한 카드까지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은 알아둬야 한다. 5일부터 전화를 통한 신고만 가능하다. 신고자는 신용카드분실 일괄 신고서비스 접수 카드회사에 자신의 이름, 휴대폰 번호, 주민등록번호를 제공해야 한다. 개인(신용)정보의 이용과 제공에 동의해야 하고 이 과정은 녹취된다. 분실신고 요청을 받은 카드회사는 분실신고가 정상으로 접수되었음을 문자메시지로 신고인에게 알려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활동인구 1인당 평균 3.4장의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갑 등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면 3∼4번에 걸쳐 분실 신고를 반복해야 했지만 한 번의 신고만으로 끝나 신고접수 시간과 횟수가 단축된다. 신속한 신고 덕분에 분실이나 도난과 관련한 피해금액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말까지 광주은행과 제주은행도 같은 서비스를 제공해 국내의 모든 신용카드에 일괄신고가 가능하도록 하고 온라인 홈페이지, 모바일 앱을 통한 접수도 가능토록 시스템을 만들기로 했다.

김종건 기자 marco@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