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24년 만에 최고…“월급 빼고 다 올라”

입력 2022-08-03 09:13: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6.3% 오르며 IMF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2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사진 | 뉴시스

7월 소비자물가 6.3% 상승…소비자는 ‘울상’

채소류 25.9%·석유류 35.1% 급등
‘런치플레이션’ 현상으로 외식 부담
자영업자 3명 중 1명은 폐업 고려
‘3고 위기’로 소비자 부담 더 커져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6.3% 올랐다. 2개월 연속 6%대로,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가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농축수산물의 상승폭도 커졌다. 물가가 급등하면서 실질소득은 줄어들고, 장바구니 물가까지 치솟으면서 직장인들과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7월 6.3% 상승…2개월 연속 6%대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4(2020=100)로 1년 전보다 6.3%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상품과 서비스가 각각 9.0%, 4.0% 올랐다. 상품 중 농축수산물은 7.1% 올랐는데, 특히 채소류 가격이 25.9%나 치솟았다.

공업제품은 8.9% 올랐는데, 석유류가 35.1%나 급등했다. 다만 최근 국제유가 급등세가 완화되면서 전월보다 오름폭은 둔화됐다. 요금 인상 영향으로 전기·가스·수도도 15.7% 상승했다. 개인서비스는 6.0% 올랐다. 무엇보다 외식 물가가 8.4%나 오르면서 1992년 10월(8.8%) 이후 29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7.9% 상승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추석 명절을 앞두고 농축산물 불안 요인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전제할 때 국제 유가 급등 등 대외적 불안 요인들이 조금씩 완화되고 있고, 지난해 8∼9월 높은 물가의 기저효과도 작용하면서 다음 달 오름세는 크게 확대되지는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내달 물가 상승률이 6% 이하로 떨어질 것 같지 않지만 7%대로 오를 가능성도 크지는 않다는 설명이다.


●직장인·자영업자 시름

하지만 계속해서 치솟는 물가에 소비자들의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직장인들 사이에선 “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푸념이 나온다. 씀씀이도 줄이고 있다. 도심의 점심값이 크게 오르는 이른바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면서 외식비에 부담을 느낀 직장인들이 간단하게 한 끼를 해결하려는 수요까지 늘고 있다.

편의점 이마트24가 6월 1일부터 7월 26일까지 도시락과 조리빵 매출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48%, 39% 증가했다. 특히 오피스 상권에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

고물가에 고금리와 고환율 등 ‘3고 위기’에 코로나19 재확산까지 더해지면서 자영업자들의 주름도 늘어가고 있다. 최근엔 3명 중 1명이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는 조사까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도소매업, 기타 서비스업 등을 하는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2022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자료에 따르면 자영업자들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지난해보다 평균 13.3% 감소했다. 자영업자의 70.6%가 매출이 감소했다. 자영업자의 59.0%는 올해 하반기에도 지난해보다 매출이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영업자의 33.0%는 폐업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올해 예상되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물가 상승에 따른 재료 매입비 부담’(23.6%)을 꼽았다. 이어 ‘임차료 상승 및 세금 부담’(17.2%), ‘금리 상승, 만기 도래에 따른 대출 상환 부담’(14.8%) 등으로 조사됐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3고 현상으로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소비심리 개선과 금융지원 확대는 물론 공공요금 할인·지원 등 자영업자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명근 기자 dionys@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