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 전자공학전공 남민우 교수, 차세대 광전자소자 상업화 핵심 기술 개발

입력 2023-05-24 10:25: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사진제공ㅣ계명대

사진제공ㅣ계명대

계명대 전자공학전공 남민우 교수연구팀이 차세대 광전자소자 상업화 핵심 기술을 개발한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IF: 16,744)에 게재됐다고 23일 밝혔다.

남민우 교수팀은 성균관대, 미국의 Georgia Tech, 미국의 Northeastern 대학 등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유기 반도체의 분자 도핑 기술을 이용하여 차세대 광전자소자의 성능 향상과 제조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Single-layer organic photovoltaics fabricated via solution-based electrical doping of ternary bulk heterojunction films” 논문으로 발표했다.

유기 반도체는 차세대 광전자소자 개발을 위한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지만, 상업화 단계로의 진입을 위해서는 소자 성능 향상은 물론 소자 제조 공정 비용의 절감 또한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연구진은 이종의 유기 반도체로 구성된 박막을 형성하고 이에 phosphomolybdic acid (PMA)를 이용한 후처리 도핑 과정을 적용했으며, 국지적인 도핑에 의해 박막의 표면에서 전기전도도가 급격히 향상되고 트랩에 의한 전하의 손실이 감소되는 것을 발견했다.

기존 실리콘의 도핑을 위해서 고가의 장비와 장시간 1000 °C 이상의 극한 환경이 요구되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상온에서 유기 반도체 박막을 PMA 용액에 수 초 가량 담그는 과정만으로도 쉽고, 빠르고, 효과적으로 분자 도핑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분명하다.

국제 공동 연구팀은 협업을 통해 도핑에 따른 유기 반도체 박막의 광학적, 전기적, 구조적 특성 변화를 분석했으며, 도핑된 박막을 유기태양전지의 활성층으로 적용해 실내외의 다양한 광원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전기 생산이 가능한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했다.

특히, PMA 도핑 기술과 다성분계 이종 유기 박막을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기존 고효율 태양전지 제작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던 전하수송층이 없이도 효과적으로 동작하는 단일층 구조(single-layer structure)의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성공적으로 시연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전하수송층의 형성을 위해 필요한 진공 공정 단계를 생략하여 소자 제조 과정을 간소화하는 장점이 있고, 또한 금이나 은 대신 알루미늄과 같은 비교적 저렴한 금속을 전극으로 사용해도 고효율 달성이 가능하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 입증함으로써 제조 비용 절감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를 주도한 계명대학교 전자공학전공의 남민우 교수는 “본 연구는 유기 반도체 기반 전자소자의 성능-비용 갭을 줄일 수 있는 분자 도핑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향후 태양전지, OLED, 트랜지스터, 센서 등 다양한 차세대 전자소자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 우수 연구진과 협력을 확대하고 신개념의 전자 소자 및 시스템 기술 개발을 위해 더욱 노력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스포츠동아(대구) 손중모기자 localdk@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