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경정장에서 선수들이 턴마크를 돌며 경합을 벌이고 있다. 시즌 전반기가 끝나고 실시하는 등급심사에서 주선보류를 피하기 위해 하위권 선수들의 경쟁이 요즘 치열하다                사진제공 |국민체육진흥공단.

미사경정장에서 선수들이 턴마크를 돌며 경합을 벌이고 있다. 시즌 전반기가 끝나고 실시하는 등급심사에서 주선보류를 피하기 위해 하위권 선수들의 경쟁이 요즘 치열하다 사진제공 |국민체육진흥공단.


 2025년 경정 시즌의 전반기가 4회차(8일) 정도가 남았다. 이중 25회차(6월 18~19일)는 전반기 최강자를 가리는 ‘KBOAT 경정 왕중왕전’으로 상위권 선수들만 출전한다. 사실상 남은 일정은 3회차, 6일 정도가 남았다.
그래서 하위권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주선보류 때문이다. 전, 후반기 등급심사를 통해 평균 득점 하위 7%, 8명 안팎의 선수가 매번 주선보류 명단에 포함된다. 주선보류가 되면 출전 횟수가 제한된다. 그만큼 상금획득의 기회도 줄어든다. 주선보류 누적 3회가 되면 아예 선수등록이 취소되어 아예 출전할 수 없다.

●주선보류 예외 혜택 사라진 16기, 염윤정과 오상현 위기
16기는 지난해 하반기까지 신인급(최초등록 후 9반기 이내 선수)이어서 주선보류 예외 대상이었다. 하지만 올해 예외 기간이 끝나면서 염윤정(B1)과 오상현(B2)이 위기를 맞았다.
 염윤정은 평균 득점(평균 착순점 - 평균 사고점) 2.12점으로 주선보류 예외 적용을 받는 17기 신인을 제외하면 하위 2위다. 올해 평균 출발 속도가 0.24초이고, 1착 1회, 2착 3회, 3착 3회을 기록해 성적이 최악의 부진은 아니다. 하지만 5월 22일 22회차 7경주에서 사전 출발 위반(플라잉)으로 사고점이 크게 상승한 것이 발목을 잡고 있다.
오상현은 평균 득점 2.91점으로 하위 4위다. 올해 30회 출전해 2착 3회, 3착 4회, 평균 출발 시간은 0.28초를 기록 중이다. 오상현의 성적이 저조한 원인은 1~3코스를 제외한 나머지 4~6코스에서 모두 착외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1턴 전개력이 부족하고, 타 선수와 경합 과정에서 경주 운영 능력이 떨어지는 점을 꼽을 수 있다.

●15기에선 신선길, 윤상선, 송효범, 한준희 분발해야
 신선길(B2)는 현재 17기를 제외한 선수 중 평균 득점 1.25점으로 최하위다. 올해 31회 출전했는데 1착 1회한 것을 빼고는 모두 착외했다. 평균 출발 시간 0.27초로 나쁘지 않지만, 1턴 전개력이 다른 선수에 비해 크게 떨어진 것이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아직까지 주선보류에 오른 적은 없지만, 이번에는 주선보류 명단에 들어갈 것이 유력하다.
하지만 15기 중에 가장 큰 위기는 윤상선(B2)이다. 현재 평균 득점 2.41점으로 17기를 빼고 하위 3위이다. 문제는 지난해 후반기까지 주선보류 누적 2회를 기록하고 있다. 이번에 하번 더 주선보류를 받으면 선수등록이 취소된다. 이를 의식한 것인지 최근 출발 집중력이 좋아지며 1~2번 인코스나 3~4번 센터코스에서 적극적인 1턴 전개로 입상에 성공하고 있다. 등급 심사 전까지 4~6회 정도 출전이 예상되는데, 선수등록 취소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등급 심사 막판까지 적극적인 승부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
그외 15기에서는 송효범(B1)이 평균 득점 3.37점, 한준희(B2)가 평균 득점 3.38점으로 하위 7위, 8위다. 이 두 선수 모두 사전 출발 위반으로 하위권에 내려가 있다. 송효범은 24회 출전해 1착 3회, 2착 2회, 3착 3회, 평균 출발 0.28초, 평균 착순점 4.0으로 나름 나쁘지 않은 성적이고, 한준희도 21회 출전해 1착 3회, 2착 4회, 3착 1회, 평균 출발 0.14초, 평균 착순점 4.52점을 기록하고 있다. 사고점을 기록하지 않고 등급심사까지 남은 경주에서 활약을 이어간다면 충분히 위기를 모면할 수도 있어 보인다.

‘경정코리아’의 이서범 경주분석 위원은 “김현덕(11기, B1)과 반혜진(10기, A2)도 사전 출발 위반으로 사고점이 높아 하위권에 있지만, 최근 성적을 끌어올리며 슬기롭게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며 “등급 심사가 임박한 시기에는 항상 하위권의 분전으로 이변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하고, 하위권이라도 좋은 코스나 모터를 배정받은 경주가 있는지 더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이맘때 경주 추리 전략이다”라고 분석했다.


김재범 기자 oldfield@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