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새해 달라지는 제도·시책 발표… 6대 분야 75개 사업 추진

입력 2022-12-29 15:43: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울산시청

새해 울산시정, 경제와 삶의 질 개선 목표
버스노선 전면개편·개인형 이동장치 주차장 설치
산후조리비 지원,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등 시행
울산시가 ‘경제와 삶의 질 개선’을 내년 시정 목표로 정하고 이를 위한 6대 분야 75개 사업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2023년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을 29일 발표했다.

시가 새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6대 분야는 ▲경제·산업 ▲문화·관광·체육 ▲환경·녹지 ▲복지·건강·안전 ▲교통·도시 ▲행정·시민 생활 분야 등이다.

먼저 경제·산업 분야에서는 노사민정 대화합의 장으로 자리매김할 ‘울산산업문화축제’를 내년 6월에 개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한 산업수도 울산을 대내외에 알려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수소 전기 트램 실증사업, 수소차 수소 충전소 보급 확대, 우리마을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구축, 개인형 이동장치(PM) 전용 주차존 설치 등의 신산업 활성화에도 힘쓴다.

문화·관광·체육 분야에서는 문화재단과 관광재단을 통폐합한 ‘(재)울산문화관광재단’을 출범시켜 지역의 특성을 살린 문화관광의 콘텐츠 개발을 촉진해 나간다.

내년 5월 제17회 전국 장애 학생 체육대회와 제52회 전국 소년체육대회를 잇달아 열리며 송정·대나리 복합 문화센터, 상동 바다 도서관, 100세 다목적 체육관도 건립해 독서·문화·교육을 아우르는 다양한 여가시설을 확충한다.

환경·녹지 분야에서는 울산시 전역에 걸쳐 ‘조명환경관리구역’이 지정·시행된다. 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해를 관리할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 시민 불편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1월부터 ‘동남권 미세먼지 연구·관리센터’를 운영함에 따라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 특성을 고려한 미세먼지 연구와 관리가 가능해진다.

복지·건강·안전 분야에서는 여성가족개발원과 사회서비스원이 통합된 ‘울산 복지가족진흥사회 서비스원’이 1월 새롭게 출범한다. 저출산, 청년·은퇴자 인구유출과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해 나간다.

또한 신생아 출생일 기준 1개월 이상 울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출산가정에 출생아 1인당 ‘산후조리비’ 50만원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방사능 재난대비 시민행동 알림시스템도 시행돼 방사능 재난 시 집결지, 대피경로, 구호소 등 시민에게 필요한 각종 방사능 방재 정보를 제공한다.

교통·도시 분야에서는 동해남부선 복선전철 개통 등 광역철도 시대 도래에 따라 도시교통망 변화와 연계한 ‘시내버스 노선체계’를 전면 개편해 배차간격 단축, 이용환경 개선으로 버스 이용 시민의 편의를 높일 예정이다.

6월에는 ‘울산혁신도시 복합혁신센터’를 개관한다. 센터는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다목적 광장과 스쿼시장, 문화강좌실, 프로그램실, 회의실 등으로 구성될 계획이다.

행정·시민 생활 분야에서는 ‘고향사랑기부제’가 시행돼 개인이 자신의 주소지가 아닌 타 지자체에 1인당 500만원 한도로 기부할 수 있게 된다.

기부자는 기부금액의 30% 이내 지역특산품과 기부액의 10만원까지 전액 세액 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울산=김태현 기자 kthyun2077@naver.com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