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까지 추가징계 ‘계획 없는’ 울산 현대, 팬들과 약속 지킬까? [사커토픽]

입력 2023-06-27 07: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스포츠동아DB

박용우, 이규성, 이명재, 정승현 등 선수 4명과 직원 1명이 11일 소셜미디어(SNS) 상에서 2021년 전북 현대 소속이던 태국국가대표 사살락(부리람)을 거론하며 인종차별 논란을 야기하자 울산 현대는 12일 구단 SNS에 한국어 사과문을 게시했다. 피해자(사살락)만 적시한 채 문제 인물들은 숨긴 사과문에서 울산은 3가지 사후 조치를 약속했다. ▲선수단 차별 근절 교육 ▲사살락 및 관계자들에 대한 사과 ▲이른 시일 내 상벌위원회 개최 및 징계 절차 진행 등이었다.

2주가 흘렀다. 그 사이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경징계가 있었다. 22일 연맹 상벌위는 박용우, 이규성, 이명재에게 출전정지 1경기 및 제재금 1500만 원, 구단에 제재금 3000만 원을 부과했다. ‘인종차별적 언동을 한 선수에게 10경기 이상 출전정지, 1000만 원 이상 제재금을 부과한다’는 규정에 비해 몹시 낮은 수위다.

축구계는 일률적으로 적용된 동일한 징계에 특히 황당해했다. 연맹은 직접 차별적 언동을 하지 않았다며 정승현은 징계대상에서 제외했다. 이 잣대에 따르면, 사살락의 외모에 빗대어 놀림을 당한 이명재는 피해자다. 그럼에도 연맹은 이명재까지 똑같이 처벌해 비웃음을 자초했다.

퇴장 징계와 인종차별을 같은 수위로 처벌해 이상한 선례를 남겼지만, 연맹은 할 일을 했다. 공은 울산이 넘겨받았다. 13일 고개 숙여 사과한 홍명보 울산 감독은 연맹의 징계는 피한 정승현에게도 1경기 출전정지를 결정했다. 또 선수단 전체의 SNS 활동을 금지시켰다. 다만 국내선수들만 해당되는지 바코 등 외국인선수들은 열심히 개인 SNS를 관리하고 있다.

일단 26일까지 구단 자체 상벌위는 열리지 않았다. 23일 내부회의에서 연맹 징계 결과만 짧게 언급됐다. 구단 관계자는 “재발 방지를 초점으로 선수단 내부징계를 논의하고 있다”면서도 “상벌위 회부 여부나 일정 마련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구단 자체 상벌위는 불가피하다. 팬들과 약속이기 때문이다. 또 조용히 잊혀지길 바라고 슬그머니 덮을 수준도 아니다. 참고할 만한 선례는 차고 넘친다. 2015년 4월 프로야구 KIA 타이거즈 윤완주는 개인 SNS에서 부적절한 용어를 사용해 구단으로부터 3개월 자격정지 처분을 받았다. 울산처럼 국제적 망신도 아니었고, KBO가 엄중경고로 마무리했음에도 구단은 훨씬 높은 수준의 징계를 마다하지 않았다.

남장현 기자 yoshike3@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