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 깬 현대엔지니어링,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 준공

입력 2023-06-29 10: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사진제공 | 현대엔지니어링

13층 높이 용인 영덕 경기 행복주택
기술력 앞세워 해외시장 공략 가속
현대엔지니어링은 27일 13층 높이의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인 ‘용인 영덕 경기행복주택’ 준공식을 개최했다. 경기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에 마련된 용인 영덕 경기행복주택은 106세대 규모의 중고층 모듈러 주택 실증사업으로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발주했고 국토교통부가 지원하는 국가 R&D사업으로 진행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은 민간사업자로 참여했다.

이번 준공은 모듈러 주택 사업에 비교적 제약이 많은 국내에서 중고층 모듈러 주택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는 것에 의의가 크다. 그동안 건축법에 따라 13층 이상 건물은 3시간 이상의 내화 기준(화재 시 버틸 수 있는 시간)을 갖춰야 하는 등의 이유로 국내 모듈러 주택 높이는 12층에 머물러 있었지만 용인 영덕 경기행복주택이 최초로 이 한계를 극복했다.

모듈러 주택은 주요 구조물과 건축 마감 등을 포함한 모듈러 유닛을 공장에서 선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해 조립, 건설하는 주택을 말한다. 기존 방식과 비교해 소음, 분진, 폐기물 발생이 적고 공사 기간도 30∼50% 가량 단축시킬 수 있다. 현장 작업이 최소화 되는 만큼, 근로자의 안전성도 향상되고 자재 재활용 및 재사용이 가능해 탄소 저감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모듈러 공법의 장점을 바탕으로 향후 건설업의 제조업화라는 패러다임 변화를 예측해 2012년부터 디자인, 신소재 적용, 정밀시공기법 등 모듈러 건축에 대한 연구개발 및 시공 역량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현재까지 건설신기술 1건과 특허 11건을 획득했고 서울주택도시공사(SH),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공공기관과의 공동연구 및 다수의 OSC(Off-Site Construction) 국가 R&D사업에 참여했다.

현재는 서울주택도시공사가 발주한 ‘가리봉 구 시장부지 복합화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모듈러)’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서울시 구로구 일대에 174세대 규모의 행복주택을 모듈러 공법으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서울 내 최고층인 12층 높이와 최대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해외사업 진출도 검토 중이다. 공장 생산 방식을 통해 제작돼 해외수출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인 만큼, 모듈러 기술력과 국내·외에서의 다양한 실행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현재 세계 모듈러 건축시장은 2022년 기준 약 121조 원 규모로 추산되며 미국, 영국, 싱가포르, 일본 등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두드러져 오는 2030년 약 2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도헌 기자 dohone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