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 부분치환술’…어떨 때 받아야 하나? [건강 올레길]

입력 2023-08-21 14:41: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무릎 관절은 뼈와 인대, 연골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노화가 진행되는데, 특히 중년 이후에는 각종 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퇴행성관절염’을 꼽을 수 있다.

퇴행성관절염이란 무릎 관절의 노화(퇴행성 변화)로 인해 완충작용을 하는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염증 및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실제로 노인 10명 중 8명은 관절염을 앓고 있다는 통계도 있다.

문제는 이처럼 흔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러운 노화라는 인식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를 방치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초기에는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이 시큰거리고 아픈 정도지만 악화되면 가만히 있어도 극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다행히 퇴행성관절염 초기라면 약물이나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 치료로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이런 보존 치료에도 차도가 없다면 결국 인공관절 수술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인공관절 수술은 크게 무릎 전체를 치환하는 전치환술과 일부를 치환하는 부분치환술이 있다. 이중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은 전치환술에 비해 절개와 출혈이 적기 때문에 회복이 빠르다. 또한 무릎 구조물의 손상도 확연히 작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십자인대의 손상을 최소화해 균형 감각이나 평형감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후 일상 복귀가 상당히 빠르다.

대찬병원 이민수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인공관절 수술은 무릎 기능을 회복하는 큰 장점이 있지만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는 질환인 만큼 환자의 나이를 고려했을 때 신체적 부담이 크다”며 “이중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은 손상된 연골만 치환하는 인공관절 수술로, 기존 연골의 기능성을 높이고 통증을 줄일 수 있어 젊은 퇴행성관절염 환자에게 선호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민수 원장은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기존의 관절을 최대한 보존하고 인공관절 수술의 범위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지만 안타깝게도 그 적응증이 적은 편”이라며 “내측 인대의 기능이 정상적이고 무릎 연골의 손상이 내측에만 국한되어야 하며, 무릎 정렬이 한쪽으로 심하게 쏠려 있다면 부분치환술의 예후가 좋지 않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이수진 기자 sujinl22@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