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최저 성공률’ 도루왕 탄생? 신민재-정수빈-김혜성의 경쟁이 주목받는 이유 [베이스볼 브레이크]

입력 2023-08-22 16:02: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LG 신민재, 두산 정수빈, 키움 김혜성(왼쪽부터). 스포츠동아DB

21세기 들어 가장 낮은 성공률로 도루 부문 타이틀을 차지했던 선수는 2007년 LG 트윈스 이대형(현 SPOTV 해설위원)이다. 그해 73차례 도루를 시도해 53차례 베이스를 훔쳐 72.6%의 성공률을 마크했다. 1986년 43도루를 기록했던 서정환(65.2%)이 가장 낮은 성공률의 도루왕으로 남아있지만, 2000년 이후로는 2007년 이대형의 성공률이 최저다.

올 시즌에는 ‘21세기 최저 성공률’ 도루왕의 주인이 바뀔 수도 있다. 21일까지 도루 부문 선두를 질주 중인 신민재(LG)의 도루성공률은 72.5%(29성공 11실패)다. 이보다 낮은 성공률로 도루왕에 오른다면, 21세기 최저 성공률 타이틀홀더가 된다. 6월까지는 23차례 도루 시도에서 78.3%(18성공)의 높은 성공률을 기록했지만, 7월 이후에는 17차례 도루를 시도해 성공률이 64.7%(11성공)로 뚝 떨어졌다.

신민재는 과거에도 누상에 나가면 언제든 뛸 수 있다는 이미지가 강했다. 적극적으로 뛰는 야구를 선언한 염경엽 LG 감독의 전략에 맞게끔 언제든 뛸 준비가 돼 있었다. 최근에는 주전 2루수로 올라서면서 뛸 기회가 늘어났는데, 그만큼 상대 배터리의 견제도 심해졌다. 최근 도루성공률이 떨어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신민재와 경쟁 중인 이 부문 2위 정수빈(두산 베어스·26도루), 3위 김혜성(키움 히어로즈·22도루)은 스타일이 조금 다르다. 이들은 많이 뛰는 것보다 성공 확률을 높이는 데 집중하는 케이스다. 30차례 도루를 시도한 정수빈의 성공률은 무려 86.7%고, 25차례 도루 시도에 나선 김혜성의 성공률은 88%에 달한다. 김혜성은 “누적 도루보다는 확률에 집중하고 있다. 도루왕도 욕심나지만, 실패했을 경우 팀에 미칠 영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털어놓았다.

신민재, 정수빈, 김혜성의 공통점은 번개 같은 스피드다. 그러나 도루는 스피드 하나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상대 투수의 투구폼을 읽는 센스와 최적의 리드 폭, 슬라이딩 타이밍 등 모든 게 맞아떨어져야 한다. 정수빈과 김혜성은 풍부한 1군 경험을 통해 이 센스를 터득했다. 신민재도 전문대주자 출신이다. 주루 센스에선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 다만 1군에서 풀타임을 소화하는 시즌은 올해가 처음이라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디테일은 더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최저 성공률 도루왕도 영광스러운 타이틀이다. 최대한 많이 뛰면서 상대 배터리를 흔들었고, 그만큼 누적 기록을 쌓았다는 의미에서다. 이대형도 2007년 도루왕을 차지한 뒤 2008년(63도루·80.8%), 2009년(64도루·78%), 2010년(66도루·75.9%)까지 4년 연속 타이틀을 거머쥐었고, 주루 센스도 크게 향상됐다. 신민재도 같은 코스를 밟을 수 있다. 그의 행보를 예의주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강산 기자 posterbo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