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에서 증가하는 ‘자궁근종’…치료 미루지 마세요 [건강 올레길]

입력 2023-06-13 16:14: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최동석 대표원장

과거 40~50대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자궁근종이 최근 젊은층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의하면 2017년 37만6962명에 불과했던 자궁근종 환자가 2021년에는 60만7035명으로 6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가 가장 많았으며 20~30대에서도 증가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자궁근종이란 자궁을 이루고 있는 근층에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위치에 따라 근층내근종, 장막하근종, 점막하근종으로 구분한다.

가장 흔한 증상은 부정출혈이며, 근종이 자궁 내강을 비틀거나 크기를 키워 차지하는 면적을 늘리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밖에도 근종이 급격하게 자라날 경우 혈류 공급이 부족해져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방광이나 직장 등 다른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면 빈뇨, 변비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문제는 자궁근종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대부분 무증상이라 근종을 제때 치료하지 못해 난임 등으로 발전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산부인과에서 검진을 받아 병변을 초기에 발생하고 치료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좋은 예방법이 될 수 있다.

물론 자궁근종이 발생했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을 통해 제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근종의 크기가 작고 특별한 증상이 없을 경우에는 즉각적인 치료보다는 주기적으로 근종을 확인하는 추적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하지만 검사 결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환자의 나이와 임신 희망 여부, 폐경 여부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서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을 찾게 된다.

치료 방법으로는 호르몬제를 사용하는 약물 치료나 자궁으로 가는 혈관을 차단해 근종을 괴사 시키는 색전술 등을 이용해 치료가 가능하며, 근종의 크기가 증가했거나 개수가 많아진 경우에는 복강경 또는 로봇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수술적 치료 방법인 하이푸 등의 등장으로 수술 자체에 대한 부담감과 두려움이 있거나 치료에 오랜 시간을 내지 못하고 이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하이푸는 수술용 초음파와 진단용 초음파 발생장치를 결합시킨 의료 장비로, 인체 내에 있는 종양에 이를 집중했을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해 종양을 태우고 근종을 괴사 시키는 방식이다.

최상산부인과 최동석 대표원장은 “극심한 생리통이나 지속적인 부정출혈 등은 자궁근종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오래 방치할 경우 착상을 방해하고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에 난임과 조기 유산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자궁근종은 여성 고유의 기관인 자궁에 발생한 병변이기 때문에 치료법 역시 가장 적절하고 안전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수진 기자 sujinl22@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