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이크 톰슨.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롯데는 13일 “외인 투수 브룩스 레일리(30)와 재계약하고 톰슨을 영입한다”고 밝혔다. 톰슨은 총액 90만 달러(연봉 76만 달러, 옵션 14만 달러)에 계약했다. 젊은 나이임에도 100만 달러 상한선을 꽉 채우지 않고 데려왔다.
메이저리그 경력은 많지 않다. 톰슨은 2016년 빅 리그를 처음 밟았고 3시즌간 30경기(18경기 선발)에 등판해 7승8패, 평균자책점 4.87을 기록했다. 3년간 116.1이닝 소화에 그쳐 표본이 넉넉하지는 않다. ‘베이스볼서번트’에 따르면 톰슨은 ‘포 피치 투수’다. 체인지업(29%), 슬라이더(25.5%), 포심 패스트볼(24.1%), 싱커(21.3%)의 구사율이 고른 편이다. 네 구질 모두 승부처에서 자신 있게 구사했다. 속구 평균구속은 90.6마일(약 146km)로 KBO리그 평균 이상이다.
싱킹성 구질을 즐겨 구사하는 투수답게 땅볼 유도에 능하다. 메이저리그 3시즌 동안 땅볼/뜬공 비율은 1.18, 마이너리그 7시즌간도 1.06으로 준수했다. 메이저리그에서 땅볼 비율은 47.8%에 달했다. 기본적으로 피홈런이 많지 않은 타입. 구장 크기가 작은 편인 사직구장이 홈임을 감안할 때 반가운 대목이다.
다만 땅볼을 자주 유도한다고 해서 이를 무조건 아웃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투수가 관여할 부분이 아니다. 그의 등 뒤에 있는 롯데 내야수들이 해야 할 몫이다. 롯데는 올 시즌 117실책으로 리그 1위에 올랐다. 내야수들의 타구 처리율 역시 87.3%로 꼴찌였다. 땅볼 유도형 투수에게 불리한 여건이다.
내야 안정화는 톰슨을 ‘제대로’ 활용할 비책이다. 새 외인 타자가 내야에서 중심을 잡고 시즌 막판 가능성을 보인 전병우가 자리를 잡는다면 롯데의 전반적인 수비력은 몇 계단 향상될 전망이다.
최익래 기자 ing17@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