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음악감독 데뷔한 세계적인 비올리스트[공소남 시즌2]

입력 2025-04-13 16:09:28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비올리스트 김남중

비올리스트 김남중



6곡의 창작곡은 작곡· 편곡 ·연주
20트랙 연주, 웅장한 사운드 완성
“예술적으로 내게 전환점이 된 순간
음악으로 관객과 소통 잊을 수 없어”
여기서 이 사람을 만날 줄은 몰랐다. 클래식 기사를 쓰기 위해 몇 번인가 인터뷰를 한 적은 있지만, 연극 동네에서 만나니 반가우면서도 낯설다. 잘 아는 축구스타를 LG트윈스 경기가 있는 잠실구장 관중석에서 마주친 느낌이랄까.

세계적인 비올리스트 김남중 서울시향 이사가 연극 음악감독을 처음으로 맡았다는 ‘돈데보이’를 보기 위해 의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을 찾았다. 극단 물결이 만든 이 연극은 멕시코 난민이 미국으로 불법이민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겪은 비극적인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우고 살세도의 소설 ‘가객들의 여행’에서 모티프를 가져왔는데, 제목인 ‘돈데보이(Donde Voy)’는 멕시코계 미국인 출신 여성가수 티시 이노 호사가 1989년에 발표한 노래다. 스페인어로 ‘나는 어디로 가는가’라는 의미다.

“사실 감독이라는 이름이 아직도 익숙하진 않아요. 이번 작업을 하면서 정말 많은 걸 배웠고, 음악이 어떻게 무대와 함께 살아 움직이는지를 처음으로 체감할 수 있었어요.”

사실 김남중은 비올리스트라는 ‘본캐’에만 머물러 있던 인물은 아니었다. 그는 미국 뉴욕 UN본부 총회의장에서 독주 무대를 펼친 세계 최초의 비올리스트이자 UN 국제평화기여 예술가상 수상자로 카네기홀, 베를린필하모닉홀 등 세계적인 공연장에서 끊임없이 초청 러브콜을 받는 세계적인 클래식 연주자지만, 공연예술에 관한 남다른 관심과 열정을 품고 다양한 예술적 실험을 해 온 인물이기도 하다. 2019년 융복합공연예술축제 파다프(PADAF)에서 ‘오늘은 비올라’로 최우수음악상을 받은 적도 있다.

연극 ‘돈데보이’에는 비틀즈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 페르골레시의 ‘슬픔의 성모(Stabat Mater)’ 등 5곡의 기존 곡과 6곡의 창작곡이 들어갔다. 김남중은 음악감독으로 참여해 창작곡들을 작곡, 편곡은 물론 연주까지 해냈다.

편곡 역시 ‘준창작’에 가까운 작업이었다고 한다. ‘돈데보이’ 원곡을 편곡한 ‘희망의 노래’만 해도 기본적인 틀이나 테마만 가져온 뒤 장면에 맞춰 구조, 조성, 리듬을 전부 새로 만들다시피 했다. “원곡의 6/8박자 G단조를 전면 수정해서 4/4박자 G장조로 편곡했어요. 멕시코의 전통적인 느낌보다는 극 속 남자들의 복잡한 감정선에 더 가까운 리듬과 어법을 선택했습니다.”



연극 ‘돈데보이’에서 김남중(오른쪽)이 무대에 올라 비올라 독주를 하고 있는 장면.   사진제공 | 극단 물결

연극 ‘돈데보이’에서 김남중(오른쪽)이 무대에 올라 비올라 독주를 하고 있는 장면. 사진제공 | 극단 물결

배우 오주원이 미국으로 떠난 연인을 떠올리며 홀로 춤을 추는 장면은 김남중이 “제일 좋아하는 장면 중 하나”로 꼽았다. 중후하면서 쓸쓸한 정서를 음악적으로 완성했는데, 독무를 북돋는 비올라와 기타 솔로 연주가 기막히다.

‘돈데보이’와 함께 극 전체를 관통하며 다양한 구성을 갖고 흐르는 곡은 ‘우리를 위해 기도해요’다. 배우 혼자 부를 때도 있고, 허밍을 할 때도 있고, 비올라 앙상블과 합치기도 한다. 극의 끝에 이르러 사다리가 먹먹하게 사라지는 장면에서 등장하는 이 곡의 합창은 극의 하이라이트다. 김남중은 “장면이 먼저 있었고, 그 장면의 리듬과 숨에 맞춰 음악이 따라갔다”고 했다.

이 장면에는 뒷얘기가 하나 있다. 비올라의 소리를 겹겹이 쌓아 화성과 대선율을 만들었는데, 김남중은 녹음실에서 무려 20트랙이 넘도록 혼자 연주해 웅장한 오케스트라 사운드를 완성했다고 한다.

극의 마지막에는 김남중이 직접 비올라를 들고 무대에 올라 독주를 하는 장면이 있다. ‘돈데보이’를 포함해 앞서 나왔던 3곡을 하나로 묶어 리프라이즈한 음악인데, 눈먼 할머니 역을 맡은 배우 박정자가 “이 장면은 반드시 라이브 연주로 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해 음악감독이 무대 위로 올라가게 됐다고.

김남중은 “작업을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감정이 말로 다 표현되지 않는 순간들을 음악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의 문제였다”고 했다. “무언가를 설명하려 들기보다는 그 순간에 머물게 하는 음악을 만들고 싶었어요. 이번 작업을 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고, 음악이 어떻게 무대와 함께 살아 움직이는지를 처음으로 체감했습니다.”

김남중은 “음악감독으로서는 시작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예술적으로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던 시간”이라고 했다. 배우들, 연출, 스태프들과 작업하면서 ‘같이 만든다’라는 느낌이 강력하게 들었단다. “대사가 없어도 음악만으로 관객에게 뭔가를 전달할 수 있었던 순간들. 그 몇몇 장면은 아마 앞으로도 아주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연극 음악 만들기 재미에 푹 빠진 세계적인 비올리스트를 보고 있자니, 축구스타를 잠실야구장에서 마주치는 것도 썩 나쁘지 않은 경험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엔 현대캐피탈의 배구경기가 있는 천안 유관순체육관 관중석에서 우연히 만난다고 해도, 그리 놀라지는 않을 것 같다. 
비올리스트 김남중

비올리스트 김남중




양형모 기자 hmyang0307@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