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국토교통부와 철도운영사에 고속철도 경주역 정차횟수를 늘여줄 것을 요청했다. 사진제공 ㅣ 경주시

경주시가 국토교통부와 철도운영사에 고속철도 경주역 정차횟수를 늘여줄 것을 요청했다. 사진제공 ㅣ 경주시




경주역 하루 평균 8,700명 이용, 수요 대비 운행횟수 부족 지적
경주시가 고속열차(KTX·SRT)의 정차 횟수 확대를 국토교통부와 철도운영사에 공식 요청할 방침이다. 최근 급증한 이용 수요에 비해 정차 횟수가 여전히 부족해 시민과 관광객들의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18일 경주시에 따르면, 국가통계포털 자료 기준 경주역의 KTX 일평균 이용객 수는 2021년 2,901명에서 2023년 5,900명으로 103% 증가했다. 같은 기간 SRT 이용객도 1,798명에서 2,823명으로 57% 늘었다. KTX와 SRT를 합친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8,700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운행 횟수는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다. 현재 경주역은 KTX 기준 주중 상행 20회·하행 23회, 주말에는 상행 23회·하행 27회가 정차한다. SRT는 주중 상·하행 각 15~16회, 주말에는 18회 수준이다.

같은 기간 울산역은 KTX와 SRT를 합쳐 하루 70회 이상, 광명역은 90회 가까이 운행되는 것과 비교하면, 경주역 정차 횟수는 현저히 적다. 이에 따라 주말이나 공휴일, 관광 성수기에는 예매 시작과 동시에 매진되는 일이 잦아 이용객의 불편이 심화되고 있다.

경주시는 “수요에 걸맞은 공급 확대가 이뤄지지 않으면 지역 관광과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며 “지속적인 정차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경주의 연간 관광객 수는 2021년 3,951만 명에서 2022년 4,508만 명, 2023년 4,754만 명, 2024년 4,709만 명으로 해마다 4천만 명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이 가운데 상당수가 고속열차를 주요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KTX 경주역세권 개발이 본격화되며 주거·상업·업무 기능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어, 늘어나는 수요에 맞춘 철도 인프라 개선이 더욱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는 신라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품격 있는 도시이자, APEC 정상회의를 앞둔 국제적 관문도시로 성장하고 있다”며 “고속열차 정차 확대는 관광과 경제, 시민 삶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로, 국가와 지역이 함께 풀어가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경주시는 앞으로도 철도 운영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시민과 방문객 모두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철도 환경 조성에 힘쓸 계획이다.

경주 ㅣ나영조 스포츠동아 기자 localdk@donga.com


나영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