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불황 속에 소비심리 하락
-Z세대, 나만의 취향에 적극 투자
-SNS 통한 쇼핑 경험 늘어나
-AI로 소비자별 맞춤 스타일 추천
-Z세대, 나만의 취향에 적극 투자
-SNS 통한 쇼핑 경험 늘어나
-AI로 소비자별 맞춤 스타일 추천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2025 을사년 새해 패션 키워드로 ‘스파크(SPARKS·불씨)를 제안했다. 사진은 구호플러스의 2025 봄 컬렉션. 사진제공|삼성물산 패션
2025 을사년 ‘푸른 뱀의 해’가 밝은 가운데,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새해 패션 키워드로 ‘스파크(SPARKS·불씨)를 제안했다.
Silent depression(침묵의 불황), Persona consumption(페르소비), Anti-algorithm(알고리즘에 대항하는 패션), Reform of shopping experience(쇼핑경험의 개선), Key is SNS market(개인화된 마켓의 성장), Sincere loyaity(진정성 있는 충성도) 등으로 구성했다.
임지연 삼성패션연구소장은 “가속화되는 기후변화와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 의류 소비심리는 지속해서 낮아지고 있고, 패션 시장의 저성장이 예상된다”며 “어려움 속에서도 작은 가능성은 언제나 살아있고, 작은 불씨 여러 개가 단초가 돼 활활 타오르는 성장형 비즈니스로 나아가는 희망적 미래를 꿈꾸며 SPARKS(불씨)를 올해 키워드로 제안한다”고 했다.
●‘페르소비’가 뜬다
먼저 비즈니스 관점에서, ‘침묵의 불황’이 꼽혔다. 소비심리 하락과 정치적 불안정에서 야기됐으며, 지난해 저성장 기조가 이어지며 위기가 점쳐진다는 게 핵심이다. 굳건하던 명품 카테고리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대두되고, 그동안 패션시장의 성장을 이끌어온 온라인 비즈니스 역시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소비 관점에서는 ‘페르소비’라는 새 소비 패턴이 뜨고 있다. ‘페르소나’와 ‘소비’의 합성어로, 자신이 추구하는 미(美)를 명확히 발굴하고 이에 부합하는 브랜드를 적극 구입하는 Z세대의 소비 경향을 의미한다. 취향을 깊고 뾰족하게 탐구하는 브랜드가 지속 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스타일 측면에서는 알고리즘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특정한 미학 중심의 전통적 패션 트렌드 대신 자유로운 방식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패션의 개별화와 개인화가 대세가 된 만큼, 패션 트렌드라는 이름의 기계적인 알고리즘에 대항한 개별적 스타일 강화에 더욱 힘을 싣도록 한다는 전략이 깔려있다.
●SNS 마켓 성장
구호플러스의 2025 봄 컬렉션. 사진제공|삼성물산 패션
장기화된 불황기를 극복하기 위한 운영전략으로 쇼핑경험의 개선이 꼽혔다. 초개인화된 제품 추천 및 콘텐츠 큐레이션 기술의 발전은 고객 경험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마켓플레이스로 SNS 마켓의 성장에 주목해야 한다. 삼성패션연구소의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렌드에 민감한 1020 소비자에게 이미 동영상 플랫폼과 SNS는 패션 정보를 주로 획득하는 채널로 꼽혔다. 일부 노령층을 제외하고 전 연령대의 고객이 성별에 관계없이 SNS를 통해 많은 패션정보를 얻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에 다수의 SNS와 미디어 플랫폼이 커머스 기능을 적용해 앱 내 쇼핑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인공지능)를 도입해 소비자 개별 맞춤화 기술을 기반으로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상품을 노출하고, 제품 관련 고품질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돕는다.
끝으로 장기화된 불황기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브랜드 친밀감 형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다수와 다수의 만남이 아닌, 소소하지만 따뜻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간미가 느껴지는 프라이빗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정정욱 기자 jja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