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발 송은범, 한타자만 상대…김성근 감독은 왜?

입력 2011-05-13 07: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12일 대구 SK-삼성전 1회초 종료 직후. 나광남 주심과 임채섭 3루심은 삼성 덕아웃으로 다가가 류중일 감독에게 뭔가를 물었다. 류 감독은 손사래를 쳤다. 심판진이 다시 SK 김성근 감독에게로 향하자 김 감독은 자신의 왼 팔꿈치를 가리키며 역시 뭔가를 얘기했다.

정리하면 김 감독은 이날 선발로 예고한 우완 송은범을 1회말 수비에 들어가기에 앞서 팔꿈치 부상을 이유로 교체하려다 무산됐던 것이다. 삼성에서 이를 인정하지 않아 결국 덕아웃에 머물던 송은범은 마운드에 올라 첫 타자 배영섭에게 유격수쪽 내야안타를 맞고 나서야 좌완 고효준으로 교체됐다.

송은범은 왜‘부상’에도 불구하고 마운드에 올랐을까. ‘선발투수 및 구원투수의 의무’를 규정한 야구규칙 3.05 (a)에 따르면 ‘주심에게 건네준 타순표에 기재되어 있는 투수는 상대팀의 첫 타자 또는 그 대타자가 아웃되거나 1루에 나갈 때까지 투구할 의무가 있다.’

즉, 선발투수는 무조건 한 타자를 상대해야 한다. 그러나 선발투수에게 탈이 났을 때 상대팀에게 양해를 구한 뒤 교체한 사례는 그동안 종종 있었다. 문제는 양해를 구하는 시점이다. 대구 3연전을 맡은 한국야구위원회(KBO) 윤동균 경기감독관은 “경기 개시 1시간 전 양팀이 오더를 교환하기 전이나, 경기 개시 직전에 상대팀이 양해해주면 선발을 교체해줄 수 있다. 오늘처럼 경기에 들어간 뒤 한 타자도 상대하지 않고 선발을 교체할 순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구규칙까지 망각한 채 선발을 교체하려 하면 상대팀 입장에선 다른 배경이 있으리란 ‘의혹’을 품을 수도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2009년 9월 22일 문학 삼성-SK전 때도 똑같은 상황이 벌어졌다는 것. 1회초에 들어가기 전 SK는 선발 송은범의 교체를 시도했지만 틀어졌고 결국 한 타자를 상대하게 했다. 또 송은범의 뒤를 이어선 역시 고효준이 등판했다. 아울러 이날 SK는 6-1로 승리해 파죽의 16연승을 질주한 반면 삼성은 13년 만의 포스트시즌 진출 좌절이 거의 굳어졌다.

대구 | 정재우 기자(트위터 @jace2020) jace@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