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상문의 투구읽기] 장원삼 명품 슬라이더 부활했네!

입력 2011-10-27 07: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왼쪽부터) SK 와이번스 윤희상-삼성 라이온즈 장원삼. 스포츠동아DB

각도 작았지만 볼 끝 살아있어
결정적 몸쪽 직구 제구력 완벽
윤희상 자진강판…SK불펜 부담


전체적으로 삼성 마운드가 SK 타자들을 압도한 경기였다. SK 투수진 역시 삼성 타자들을 잘 요리했지만, SK는 선발 윤희상의 조기 강판으로 벤치의 계획이 흐트러질 수밖에 없었다. SK 입장에선 그나마 마지막 투수로 등판해 2이닝을 책임진 엄정욱의 호투가 위안거리였다.


● 1차전 차우찬 이은 2차전 장원삼의 역투

1차전 차우찬과 마찬가지로 삼성 선발 장원삼은 올시즌 자신의 최고 볼을 뿌렸다. 주무기로 삼은 슬라이더는 페넌트레이스 때보다 각도는 작았지만 구속이 빨랐다. 현재 대부분 투수들의 슬라이더는 45도 정도 떨어지는 경향이 많다. 하지만 장원삼의 슬라이더는 우타자 몸쪽에서 조금씩 빠져나가는 구질이었다. 과거 주류를 이뤘던 정통 슬라이더의 표본을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슬라이더를 던지면서 몸쪽 직구 제구력이 완벽에 가까웠고, 볼끝의 힘도 빼어났다. 페넌트레이스 때 볼이 한 가운데 몰려 장타를 맞으며 무너졌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다. 차우찬과 장원삼에서 보듯, 삼성 투수들이 전반적으로 정규 시즌 후 휴식기 동안 컨디션 조절에 완벽하게 성공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부상을 예감케 했던 윤희상의 스타트

준플레이오프(준PO)와 PO에서 SK 마운드에 큰 힘이 됐던 SK 선발 윤희상은 어깨 통증을 느껴 1이닝만에 자진 강판했다. 1회 톱타자 김상수를 상대할 때 3구를 던진 뒤부터 뭔가 좋지 않다는 느낌이 들었다. 중간 중간에 팔을 흔드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투수들이 자기 스스로 몸 상태를 체크할 때 나오는 동작이다. 표정도 좋지 않았다. 시리즈 개막 전 윤희상을 SK 마운드의 키로 꼽았다. 그가 두 번 선발 등판을 할 수 있는 로테이션에서 적어도 1승1패를 해야 SK로선 시리즈를 길게 끌고갈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그의 부상 정도에 따라 SK 벤치는 앞으로 마운드 운용에 큰 부담을 갖게 됐다.


● 정현욱 투입 삼성 마운드 운영의 옥에 티

삼성 벤치는 8회 네 번째 투수 정현욱을 투입했지만 이는 절체절명의 위기로 이어질 뻔 했다. 결과적으로 안지만을 조금 더 가고, 오승환을 2이닝 투입이 아닌 1.1이닝 정도 던지게 했더라면 더 좋을 뻔했다. 2차전 승리로 삼성은 한국시리즈 우승에 90% 정도 접근했다. 2차전 승부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페넌트레이스 막판 좋지 않은 컨디션을 보였던 정현욱의 투입은 큰 악수가 될 수 있었다. 오승환은 제구력이 1차전보다는 좋지 않았지만 포수 진갑용이 노련하게 슬라이더 구사 비율을 높인 게 효과적인 투구로 이어졌다.

양상문 스포츠동아 해설위원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