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최대 신라 무덤군 장수 춘송리 고분군 ‘학계 이목 집중’

입력 2024-06-16 13:31:02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5차례 현장 설명회 개최

장수군 ‘춘송리 무덤군’ 발굴조사. 사진제공=장수군


전북특별자치도 최대 규모의 신라 무덤군으로 알려진 ‘춘송리 무덤군’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이어지며, 전국의 전문가들이 장수군을 찾고 있다.

16일 장수군에 따르면 지난 4일 춘송리 고분군에 대한 발굴성과가 보도된 이후 5차례의 현장 설명회가 진행됐다.

김명준 국가유산청 역사유적과장 등 관계자들과 역사·고고학에서 명성 높은 최병현 前 숭실대 교수, 최완규 前 원광대 교수가 1차 현장설명회에 참석해 무덤군을 살폈다.

2차 현장설명회에는 이희준 前 경북대 교수, 주보돈 前 전북대 교수, 김세기 前 대구한의대 교수가 참석해 영남지방의 신라 무덤과 비교하고 자문했다.

이어 윤덕향 前 전북대 교수, 한수영 고고문화유산연구원장, 노기환 前 전북도 학예연구관이 3차 설명회를 찾았고, 4차‧5차 현장설명회에는 박경도 국립전주박물관장 등 관계자와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인 홍보식‧김낙중 교수,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 위원인 조대연 교수와 정상기 위원 등이 방문한 바 있다.

‘장수 춘송리 무덤군’은 도내 최대 신라 무덤군으로 침령산성 동북쪽 산줄기를 따라 육안으로 확인되는 무덤만 15기 이상이다. 또한 그 일대 수십 기의 무덤이 밀집 분포해, 지난 2023년 일부 시굴조사를 통해 단일 무덤 9기가 확인됐다.

발굴조사는 잔존 상태가 가장 양호한 4호분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특히 지름 15m 내외의 대형 무덤이 도굴되지 않고 온전히 유지돼 눈길을 끈다.

무덤 내부에서는 굽다리 긴 목항아리(臺附長頸壺), 굽다리 접시(高杯), 병(甁), 토령(土鈴), 발형토기 등 22점의 신라토기와 쇠손칼(鐵刀子), 관못(棺釘) 등 9점의 철기가 출토됐다.

특히, 무덤의 입구에서 확인된 ‘훈’은 한국의 전통 공명 악기로 매장행위와 관련된 희귀한 유물로 알려져 있다.

5차 현장설명회에서 송주섭 부군수는 “학계의 여러 전문가가 춘송리 무덤군의 역사성과 가치 확인을 위해 장수를 방문해주셔서 감사드리며, 지역의 역사 문화가 재정립돼 장수의 문화유산 가치를 확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장을 찾은 학자들은 “고대사회 장수 지역의 특색 있는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발굴성과”라며 “앞으로 추가학술연구를 통해 숨겨져 있던 역사가 드러날 수 있길 바란다. 침령산성과 더불어 ‘국가사적’ 범위 확장을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장수|박이로 스포츠동아 기자 localhm@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대한민국 1등 스포츠신문 스포츠동아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