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은의감정노트]젊음닮음…그리고낯섦,질서에도전한천재女!

입력 2008-03-20 00: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얼마 전 파리에 다녀왔다. 한 잡지사에서 아멜리 노통브의 인터뷰를 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아멜리 노통브는 젊은 여성 소설가로서 ‘두려움과 떨림’ ‘시간의 옷’, ‘배고픔의 자서전’ 등으로 유명하다. ‘천재 문학가’의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그녀를 만난다는 기대감은 공포에 가까웠다. 어린 시절부터 외교관인 아버지의 덕택에 세계 곳곳을 여행하고 얻은 해박함과 그녀 특유의 어둡고 날카로운 유머와 사물을 보는 무시무시한 관찰력에 압도 되고 말았기 때문이다. 그런 뒤에는 아이슬란드의 국민가수이자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아방가르드 아티스트 뷔욕의 내한공연을 보고 무대 뒤에서 그녀를 만났다. 이 또한 오금이 저리도록 두렵고 떨리는 일이었다. 그녀 또한 천재 음악가로 특이하다 못해 기상천외한 존재감을 가진 세계적 예술가가 아닌가? 이 두 사람과의 만남은 내게 큰 영향을 주었다. 문학과 음악에서 현재 세계의 톱을 달리는 그녀들에게서 무언가 배울 것이 있었다. 그녀들은 한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단 소문이 좋지 않았다. 둘 다 까다롭기로 유명해서 조금이라도 순수하지 못한 태도나 인간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에게는 가차 없는 공격을 퍼붓는다는 것도 비슷했다. 아멜리 노통브는 자신이 인생을 살아오면서 만난 부조리하고 타인을 억압하는 모든 사람들을 소설의 소재로 삼아 가차 없이 난도질을 한다. 1999년 아카데미 프랑세스 소설 대상을 수상한 ‘두려움과 떨림’은 일본 대기업 내부의 부조리와 뒤틀린 실상을 직접 보고 쓴 자전적 풍자소설이다. 애틋한 어린 시절을 보낸 일본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가진 주인공의 짝사랑이 하나하나 파괴되는 스토리다. 무조건 일본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대다수의 유럽인들에게 줄 충격이 예상되는 소설이다. 통 번역사로 취직한 그녀를 화장실 청소부로 전락시키는 일본 사회의 편견과 폭력을 묘사한 이 책은 온 몸이 반응할 정도로 치밀한 묘사가 인상적이다. 인터뷰에서도 밝혔지만 이 세상이 그리 아름답지만은 않다는 점을 밝혀내는 것이 그녀의 사명인 것 같았다. 여성으로서 사회의 여러 가지 병들을 들추어내는 모습은 용기를 넘어 병리학자나 저널리스트의 그것과 닮아 있다. 인간 내면의 저널리스트라고나 할까. 뷔욕은 미술가인 애인과의 사이에 아이가 있는데 결혼은 하지 않았다. 태국의 공항에서 그에게 다가서는 카메라와 리포터에게 심한 폭력을 가하기도 했다. 그 사건의 내막을 지인에게 물었더니 리포터가 아이에 대한 모욕적인 발언을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사생아’라는 단어가 들리자 순수한 천재 예술가의 주먹이 올라간 거다. 소문은 이토록 두 사람을 만나는 내 마음을 무겁게 했다. 하지만 둘 다 실제로 만나 보니 상냥하고 심지어 너무나 겸손 했다. 우리는 어떤 사람의 작품을 그 사람과 일치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 사람의 작품이 어둡고 강렬하다고 해서 작가가 꼭 그렇다고 보아서는 곤란하다. 도리어 너무나 섬세하고 착한 마음이 세상의 어둠에 강렬하게 반응한 것으로 보는 편이 낫지 않을까? 천재 아티스트라고 하는 존재는 우리가 미처 보지 못한 세상을 보여주고 우리가 듣지 못하는 것을 대신 들어 우리에게 "깨어 있어라"고 외치는 광야의 예언자 같은 존재다. 그들이 없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번드르르한 표면 속의 암 덩어리를 보지 못할 것이고 우리라는 불완전한 존재들의 내부에 용솟음치는 상상력의 마그마를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그런 예술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 하겠지만 파리에서의 아멜리 노통브는 노숙자에게도 인기 있고 영향력 있는 존재였다. 그들에게 힘이 되는 것은 정치가가 아닌 것이다. 정신과 의사들도 아멜리 노통브의 작품에 대단한 찬사를 보낸다고 한다. 인간 내면의 어둠을 다루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 ‘어둠 속의 댄서’로 유명한 뷔욕의 작품도 지금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예술로 절찬을 받고 있다. 낯설지만 분명히 배울 점이 있다. 읽는 이들의 굳은 영혼과 선입관 자아를 깨부수는 이런 작품들을 가까이 했으면 좋겠다. 세계 시장에서 천재라는 평을 받아서가 아니다. 늘 똑 같은 대중문화 속에서 같은 생각만을 하다 보면 둔하고 멍해지기 때문이다. 그녀들에게 찬사를 보내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만나보니 너무나 좋은 사람들이었다는 점, 작품이 우리의 잠을 깨운다는 점, 그리고 그들이 바로 우리를 닮은 동시대의 상처 많은 젊은 여성들이라는 점 때문이다. 우리는 상처를 표현할 수 없었으나 그녀들은 용기를 내어 표현했고 아울러 치유하고 있다는 것이 그녀들에게 영광의 ‘천재’라는 수식어가 붙은 이유이다. 바로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상은 글, 그림, 여행 등 다양한 예술분야에서 자신의 창조력을 발휘하는 가수, 보헤미안의 영혼으로 노래하는 싱어송라이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