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 장준환 감독 “아내(문소리)는 웃기고 있고 나는 울리고”

입력 2013-09-24 18:03: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장준환 감독이 24일 서울 중구 동대문 메가박스에서 열린 영화 ‘화이’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국경원 기자 onecut@donga.com

장준환 감독이 아내 문소리를 언급했다.

장 감독은 24일 서울 중구 동대문 메가박스에서 열린 영화 ‘화이’의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아내는 열심히 (관객을) 웃기고 있고 나는 울리고 있다”고 말했다.

2003년 ‘지구를 지켜라’ 이후 10년 만에 ‘화이 : 괴물을 삼킨 아이’로 메가폰을 잡은 장 감독은 영화 ‘스파이’로 코믹한 연기를 선보이고 있는 아내 문소리와 다른 작품으로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장 감독은 “오랜만에 결과물을 자랑할 수 있어서 좋다. 영화를 준비하며 결혼도 했고 아이도 생겼다. 요즘 아내도 배우로 열심히 살고 있다. 아내는 관객을 웃기고 나는 울리고 있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장 감독이 연출한 ‘화이’는 5명의 범죄자 아버지를 둔 소년 화이(여진구)가 그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버린 과거가 드러나자 갈등을 겪고 처절한 복수를 꿈꾸게 된다느 내용. 이 속에서 인간이 가진 괴물 같은 내면이 강렬하게 그려진다. 장 감독은 이런 면을 파헤치며 영화를 만들어 갔다.

“이 영화는 몇 문장으로 축약할 수 없다. 내 속과 주변에 있는 괴물을 들여다보고 싶었다. 그 고통스럽고 무서운 순간을 영화 안에서 구현해보고 싶었다. 하지만 섣불리 담을 수 없는 영화여서 인물들과 감정을 어떻게 담아내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장 감독은 자기 자신 뿐 아니라 배우와도 깊은 소통을 했다. 여진구와는 어린 화이가 어떻게 살았을지 일기를 써보는 등 밑작업을 함께 했다. 김윤석(석태 역)과는 인물의 근본에 대해 큰 공감대를 갖고 있어 이 인물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모든 캐릭터를 형성할 때 외줄을 타는 마음으로 만들었다. 한 발이라도 잘못 디디면 안 된다는 마음으로 인물의 균형을 잘 유지해야 했다.”

이름이 왜 ‘화이’였는지도 궁금했다. 장 감독은 “내가 처음 받은 시나리오에 이름이 화이라고 되어 있는데 왜 화이인지는 없었다. 왜 화이일까 생각해보니 분재를 하는 식물원도 생각났고 식물의 뿌리로 만들어진 괴물까지 생각이 났다”고 말했다.

이어 “화이목이라는 분재는 사실 없다. 중국에서는 모과나무의 한 종류를 화이목이라고 부른다고 하더라. 영화적으로 필요한 시각적인 요소들이 있어 화이목을 만들어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장 감독은 “영화를 보고 ‘나는 누구인가’, ‘내 안의 괴물은 어디서 생겨난 걸까’, ‘내 주위에 왜 많은 괴물들이 생긴 걸까’ 등에 대한 탐구를 했으면 좋겠다”며 “하지만 영화를 어렵게만 생각하지 말고 추격신이나 총격신 등을 보며 마음이 통쾌했으면 좋겠다”고 마무리했다.

동아닷컴 조유경 기자 polaris27@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사진|국경원 기자 onecut@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