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스텔라 천만 돌파③] “웜홀·상대성 이론이 뭔가요?” 지적 호기심↑

입력 2014-12-25 07:52: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영화 ‘인터스텔라’(감독 크리스토퍼 놀란)가 천만 클럽에 가입했다. 개봉 50일 만이다.

‘인터스텔라’의 직배사 워너 브러더스 코리아 측은 25일 오전 보도자료를 통해 “‘인터스텔라’가 오늘(25일) 0시 누적 관객수 1000만46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인터스텔라’는 ‘실미도’(2003), ‘태극기 휘날리며’(2003), ‘왕의 남자’(2005), ‘괴물’(2006), ‘해운대’(2009), ‘아바타’(2009), ‘도둑들’(2012), ‘광해, 왕이 된 남자’(2012), ‘7번방의 선물’(2013), ‘변호인’(2013), ‘겨울왕국’(2014), ‘명량’(2014)에 이어 13번째로 천만 클럽에 가입하게 됐다. 한국에서 개봉한 외화 중에선 세 번째다.

특히 한국은 ‘인터스텔라’를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본 국가 중 하나다. 미국에서 약 1억 7200만 달러를 벌었고 중국에서 약 1억 2000만 달러, 한국에서 72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세계 3위다. ‘인터스텔라’의 인기를 표현할 때 오죽하면 돈이 있어도 못하는 일이 인기절정의 ‘허니버터칩’을 먹으며 아이맥스(IMAX)관에서 ‘인터스텔라’를 보는 것이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왔을까. 비수기이었지만 ‘인터스텔라’만큼은 성수기였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에 대한 충성도가 있기에 적지 않은 관심을 받을 것은 짐작하고 있던 터. 마니아들의 관람과 더불어 입소문을 타 10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할 정도의 힘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 걸까.

우선, 호기심이었다. 몇몇 영화 관계자들은 ‘인터스텔라’의 흥행 이유에 대해 “관객의 지적 허영심 덕분”이라고 전했지만 사실 호기심에 더 가까울지도 모른다. 우리 모두 과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은 없지만 ‘우주’라는 공간은 항상 궁금증이 가득한 공간이다. 수 세기동안 외계인의 존재여부는 격렬한 토론거리고 이따금씩 포착되는 외계비행선은 해외 토픽으로도 화제가 된다. 관객들은 영화를 통해서 이 미지의 공간을 탐험하고 싶었을지 모른다. ‘웜홀’을 통해 시간여행이 가능하고 중력과 상대성이론으로 시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과학적 상상력은 관객들의 지적호기심을 채우기에 충분했다.

또한 ‘인터스텔라’는 교육과 오락이 결합된 영화로 10대 관객층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전해졌다. SF평론가인 서울SF아카이브의 박상준 대표는 “2009년부터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물리1’에 상대성이론 과정이 포함된 덕분에 천체물리학에 대해 20대 중후반, 30대 층보다 익숙하다. 여러 과학 분야를 융합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인터스텔라’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운 이론들을 깊이 경험해볼 수 있는 작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혹자들은 관객들의 우주에 대한 호기심은 영화 ‘그래비티(Gravity·2013)’에서 시작됐다고도 분석한다. 뉴턴의 운동법칙을 소재로 만든 ‘그래비티’는 개봉 당시 32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우주 상공을 떠도는 한 사람의 모습을 그린 ‘그래비티’가 관객들에게 과학의 재미를 일깨워줬다면 ‘인터스텔라’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더불어 ‘중력’, ‘블랙홀’ 등 더 심도 깊은 우주의 신비를 알려줬다는 것. 그렇다면 그 다음은 무엇이 될까. 무엇이 되던 우주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 있음에 벌써부터 머리가 즐거워진다.



동아닷컴 조유경 기자 polaris27@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