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길의 스포츠에세이] 월드컵 주전 GK를 꿈꾼다면…‘방심과 부상’을 조심해라

입력 2018-02-02 05:3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축구의 골키퍼는 특수 포지션이라 훈련방법도 필드 플레이어와는 다르다. 실수는 뼈아픈 실점이기에 훈련 때 코치는 인정사정 봐주지 않고 혹독하게 한다. 우리 대표팀의 월드컵 도전사에서 골키퍼는 영광보다 비난을 더 많이 받았던 자리였지만 뒤에서 헌신해준 그들의 땀과 눈물이 없다면 승리도 없었다. 과연 이번 러시아월드컵에서는 누가 대표팀 최후의 보루가 될까. 스포츠동아DB

축구에서 골키퍼는 특수 포지션이다. 출전 선수 중 유일하게 두툼한 장갑을 끼고 손을 사용한다. 보호구역도 따로 있다. 단 한명만 선택받는 좁은 문인데다, 주전으로 발탁되면 붙박이가 될 가능성이 높기에 경쟁은 언제나 치열하다.

2018 러시아월드컵 개막이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표팀 수문장 경쟁에 시선이 쏠린다. 터키 전지훈련에 참가중인 골키퍼는 조현우(대구FC)와 김승규(빗셀 고베), 김동준(성남FC)이다. 조현우는 몰도바전, 김승규는 자메이카전에 각각 투입됐다. 아직 붙박이는 없다. 또 다른 경쟁자가 나올 수도 있다. 아마도 본선 1차전 엔트리가 발표되기 전까지 선의의 경쟁은 계속될 것이다. 역대 월드컵에서도 최후의 보루인 골키퍼 경쟁은 특별했다.

홍덕영은 대한민국 원조 골키퍼이자 부동의 에이스였다.

해방 이후 첫 국제대회였던 1948년 런던올림픽에 출전했던 그는 1954년 스위스월드컵에서도 골문을 지켰다. 기차와 배, 비행기를 갈아타며 스위스까지 가는 데 1주일이나 걸렸던 터라 컨디션 관리는 상상도 못했던 시절이었다. 게다가 상대는 막강했다. 몸에 멍이 들 정도로 투혼을 발휘했지만 헝가리전 0-9패, 터키전 0-7패 등 관중이 보기에도 안타까울 정도로 무지막지하게 소나기골을 허용했다. 홀로 골문을 지켰던 그는 월드컵 이후 A매치 17경기 54실점을 남기고 은퇴했으며,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백업은 함흥철이었다. 경쟁자라기보다 후계자였는데, 그는 1956년 아시안컵을 통해 A매치 데뷔전을 치른 뒤 1964년까지 10년 가까이 주전으로 활약했다.

32년 만에 본선에 오른 1986년 멕시코월드컵의 주전은 오연교였다.

1980년대 K리그를 풍미했던 수문장은 유공 오연교와 할렐루야 조병득이었다. 둘은 라이벌이었다. 최종 엔트리에도 둘만 선발됐다. 본선 개막을 앞두고는 주전으로 조병득이 유력했지만 김정남 감독의 선택은 오연교였다. 아르헨티나(1-3패) 불가리아(1-1무) 이탈리아(2-3패) 등 3경기 모두 뛰었다.

하지만 국제무대 경험 부족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특히 장대비가 쏟아진 가운데 벌어진 2차전 불가리아전에서 전반 10분경 펀칭미스를 하는 바람에 내준 선제골은 지금도 아쉬운 장면으로 회자된다. 김종부의 동점골로 불가리아전은 월드컵 사상 첫 승점을 딴 경기였다.

1994 미국 월드컵 당시 최인영.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1990년 이탈리아월드컵에서는 김풍주, 최인영, 정기동 등 3명이 엔트리에 올랐다. 이 중 에이스는 김풍주였다. 최종예선 6경기를 모두 뛴 확실한 주전이었다. 그런데 갑작스러운 부상이 찾아왔다. 상황이 급변하면서 행운을 잡은 이는 최인영이었다. 벨기에(0-2패) 스페인(1-3패) 우루과이(0-1패) 등 3경기에 풀타임 뛰며 분전했다. 3전패에 6실점하며 한계를 드러내긴 했지만 그는 국제 경험을 통해 한 단계 성장했다.

그 덕분에 1994년 미국월드컵도 최인영의 차지였다. 이운재와 박철우가 경쟁했지만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최인영은 막상 본선이 시작되자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3차전 독일전에서는 뼈아픈 실책을 연발하는 등 전반에만 내리 3골을 허용했다. 후반에 교체 됐다. 최인영의 A매치는 그게 마지막이었다. 이때 투입된 신예가 경희대 재학생 이운재였다. 월드컵 이후 세대교체를 염두에 둔 김호 감독의 선택이었다. 이운재는 상대 공격을 침착하게 막아냈고, 차세대 주자로 각광 받았다. 하지만 곧바로 주전을 물려받은 건 아니었다.

1998년 프랑스월드컵을 앞두고 벌어진 경쟁에서는 김병지와 서동명이 살아남았다. 이 중 주전은 ‘꽁지머리’ 김병지였다.

1998 프랑스 월드컵 당시 김병지.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고교 졸업 후 받아주는 곳이 없어 낮에는 용접공으로 일하고 밤에 운동하며 꿈을 키웠던 그는 상무를 거치며 두각을 나타냈다. 차범근 감독의 눈에 들어 울산 현대에 입단하면서 급성장했고, 1995년엔 대표팀에도 선발됐다. 위치선정과 순발력이 탁월했던 김병지는 1998월드컵대표팀에 승선하며 3경기 모두 선발로 뛰었다.

K리그에서 돋보였던 김병지의 독주가 예상됐다. 하지만 거스 히딩크가 지휘봉을 잡은 2002년, 그는 백업으로 밀렸다. 떠오른 주인공은 1994년 이후 절치부심한 이운재였다.

김병지의 돌출 행동 탓에 주전이 바뀌었다. 김병지는 2001년 홍콩 칼스버그컵 파라과이전에서 하프라인 근처까지 볼을 몰고 가다 상대에게 빼앗겨 위기를 자초했는데, 이때 히딩크의 눈 밖에 났다. 이운재는 기대에 부응했다. 4강까지 오른 한국의 모든 경기에 주전으로 나서며 2인자의 설움을 날려버렸다. 특히 스페인과 8강전 승부차기에서 보여준 선방은 역사에 남을 명장면이었다.

2002 월드컵 8강전 승부차기에서 호아킨의 슛을 막아내는 이운재.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이운재 시대는 오래갔다. 2006년 독일월드컵 엔트리에 함께 오른 김영광과 김용대는 적수가 되지 못했다. 주장으로 나서 원정 월드컵 첫 승을 기록했다. 2010년 남아공월드컵도 이운재의 선발이 유력했다.

하지만 개막을 앞두고 경기력 논란에 휩싸였다. 고민하던 허정무 감독은 결국 정성룡을 선택했고, 이운재 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운재는 A매치 133경기에 출전해 국내 골키퍼로는 유일하게 센추리클럽(100경기 이상 출전)에 가입했다.

허 감독의 선택은 적중했다. 정성룡은 예선 3경기와 16강전 우루과이전까지 맹활약하며 사상 첫 원정 월드컵 16강 진출에 공을 세웠다. 그의 주가는 치솟았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도 와일드카드로 출전해 동메달을 따냈다.

2010 남아공 월드컵 당시 정성룡.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2014년 브라질월드컵에서도 정성룡은 건재했다. 하지만 전성기 기량이 아니었다. 특히 2차전 알제리전에서 졸전을 보인 대표팀과 함께 그도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백업은 이범영과 김승규였는데, 김승규가 기회를 잡았다. 3차전 벨기에전에 선발로 나서 비록 0-1로 지긴 했지만 기대 이상의 활약을 펼치며 주목을 받았다.

도전과 응전으로 점철된 60여년의 세월동안 월드컵 무대에서 골문을 지킨 선수들을 살펴보면서 든 생각은 영원한 주전은 없다는 것이다. 주전 자리를 지키는 일이나 그 자리에 올라서는 일 모두 피나는 노력 없이는 불가능했다. 특히 눈에 띄는 건‘방심과 부상’이다. 주전을 꿈꾸는 선수라면 반드시 명심해야한다는 걸 역사는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

이제 관심은 러시아 무대의 주인공이다. 진인사대천명이라고 했다.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고 감독의 낙점을 기다리는 길밖엔 없다.

최현길 전문기자 choihg2@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