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큰 일교차와 건조한 바람, 눈물흘림증 주의”

입력 2022-10-04 16:4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가을철 큰 일교차와 건조하고 찬바람이 안구를 자극해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눈물이 흐르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고 있다. 평소보다 눈물이 많이 흐르거나 불편감이 느껴진다면 병원을 찾아 눈물흘림증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눈물은 어떤 자극이 없더라도 하루 평균 5cc가량이 눈물샘에서 만들어진다. 눈물은 안구에 수분을 공급해주고 눈꺼풀과 안구 사이 윤활작용은 물론, 미세먼지나 유해물질을 씻어주는 역할을 한다. 눈물은 눈을 적신 후 코 안쪽으로 배출되는데, 보통 눈물의 양이 많지 않고 눈물길을 통해 자연스럽게 흐르기 때문에 눈물이 흐른 것을 체감하지 못한다. 그런데 눈물이 평소보다 과도하게 나오거나, 눈물길이 막힐 경우 배출에 장애가 생겨 눈물흘림증(눈물길폐쇄)으로 이어진다.

가을철 큰 일교차와 건조하고 찬바람이 안구를 자극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이 기간 평소보다 눈물이 많이 흐르거나 불편감이 느껴진다면 병원을 찾아 검사받아야 한다. 눈물흘림증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눈물샘에 과도한 자극으로 눈물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눈물배출기관이 폐쇄되는 경우인데 대부분의 눈물흘림증은 후자와 연관돼 있다. 눈물배출장애는 눈물배출기관인 눈물점, 눈물소관, 눈물주머니, 코눈물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서 폐쇄나 기능저하가 생겨 눈물이 안구의 표면을 적신 뒤 빠져나가지 못한 상태를 말한다.

눈물흘림증은 세극등현미경으로 눈 표면을 관찰해 진단하는데, 눈물길에 물을 흘려보거나(관류) 특수한 침으로 눈물길을 검사한다. 이밖에도 눈물길의 좁아진 정도와 막힌 위치 등을 알아보기 위해 눈물길조영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검사 후 결과에 따라 치료 방법과 시기를 결정한다. 속눈썹 찌름과 같은 눈꺼풀 문제는 눈꺼풀 교정 치료로, 반사적 눈물흘림에 대해서는 인공눈물 사용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눈물배출장애는 대부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공기가 차고 건조한 가을철은 눈 표면이 건조해지기 쉽고, 이에 따라 눈물의 분비가 많아 눈물흘림증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평소 안구건조증이 있다면 인공눈물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또 눈물길과 눈 주변의 반복적인 염증 발생이 눈물길폐쇄의 원인으로 이어지는 만큼, 결막염이나 눈꺼풀염이 생기지 않도록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가 필요가 있다.

명지병원 안과 김계중 교수는 “눈물흘림증은 고인 눈물로 인해 사물이 흐려 보이고, 눈을 깜빡일 때마다 눈물이 흘러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을 초래한다”며 “특히 눈물길폐쇄로 눈물주머니에 염증이 생길 경우 화농성 분비물이 배출되거나 통증과 붓기가 지속될 수 있는 만큼 속히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스포츠동아 김재범 기자 oldfield@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