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고척 가리지 않은 SSG, 홈 이점 살린 키움…KS에선? [베이스볼 브레이크]

입력 2022-10-31 14:48: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인천SSG랜더스필드. 스포츠동아DB

고척스카이돔과 인천SSG랜더스필드의 환경 차이는 크다. 인천은 KBO리그에서 손꼽히는 타자친화적 구장이다. 구장 규모부터 그다지 크지 않다. 좌우펜스는 각각 95m, 중앙펜스는 120m다. 펜스 높이도 2.8m로 높지 않다. 또 10개 구장 중 유일하게 외야펜스 위 철망이 없다. 홈런 각도가 크지 않아도 펜스를 넘어가는 경우가 적잖다. 고척은 돔구장의 특성에 따라 바람의 저항이 적다. 뜬공이 회색빛을 띤 천장에 가릴 우려도 크다. 또 천연잔디가 일부 깔린 인천과 다른 완전한 인조잔디 구장이다. 선수들은 “타구속도가 너무 빠르다”고 혀를 내두른다.

구장별 차이에 적응하는 것은 한국시리즈(KS·7전4선승제)에서도 관건이 될 전망이다. 올해 정규시즌에는 SSG 랜더스 타자들이 두 구장을 가리지 않고 호성적을 낸 것이 눈에 띈다. SSG는 인천에서 팀 타율 0.267, OPS(출루율+장타율) 0.773, 고척에서 타율 0.281, OPS 0.818을 기록했다. 고척에선 10개 구단 중 가장 잘 쳤다. 최주환(타율 0.462), 최지훈(0.353) 등이 고척에서 기량을 발휘한 점이 컸다. 반면 키움은 고척에서 타율 0.249, OPS 0.683을 기록했다. 인천에선 임지열(0.500), 김혜성(0.306), 이정후(0.294) 등이 활약했지만, 타율 0.231, OPS 0.683에 그쳤다.

키움 마운드는 홈구장의 이점을 잘 살렸다. 고척에선 팀 평균자책점(ERA) 3.28, 이닝당 출루허용(WHIP) 1.26으로 뛰어났다. SSG 역시 고척에서 ERA 3.68, WHIP 1.30을 마크했지만, 키움이 더 큰 표본에서도 더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반면 인천에선 SSG가 ERA 4.18, WHIP 1.29로 키움(ERA 5.45·WHIP 1.60)보다 우위다.

고척스카이돔. 스포츠동아DB


홈구장에서 펄펄 난 선수들에게도 주목할 만하다. 키움 이정후, 안우진과 SSG 김광현이다. 올 시즌 고척에서 이정후(타율 0.373·OPS 1.003)보다 잘 친 선수는 없다. 각각 홈구장에선 안우진(8승4패·ERA 1.49)과 김광현(8승무패·ERA 1.83)을 따라잡은 투수 역시 없었다.

두 팀은 1~2일 인천, 4~5일 고척에서 4차전까지 피할 수 없는 승부를 펼쳐야 한다. 승리의 추는 이 안에 기울 가능성이 크다. 단기전에서도 정규시즌과 같은 양상이 펼쳐질지 관심이 쏠린다.

김현세 기자 kkachi@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