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쳐야 뚫린다” 현대차, SK온·LG엔솔과 미국 배터리 합작공장 추진…IRA 정면돌파

입력 2022-11-29 16:08: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현대자동차그룹과 SK온이 북미 및 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협업에 나선다. 지난달 착공식이 진행된 현대차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공장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조감도.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자동차그룹과 SK온이 북미 및 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기 위한 협력에 나선다. 구체적인 내용까지는 발표하지 않았지만 향후 합작 공장 설립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대차그룹과 SK온은 29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SK그룹 본사(SK서린빌딩)에서 현대차그룹 기획조정실 미래성장기획실장·EV사업부장 김흥수 부사장, SK온 최영찬 경영지원총괄 등이 참석해 북미 전기차 배터리 공급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번 전략적 제휴를 기반으로 양측은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전기차 공장에 SK온 배터리를 2025년 이후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공급 물량, 협력 형태, 공급 시점 등 구체적인 사안은 추후 논의할 예정이다.

김흥수 현대차그룹 부사장은 “이번 북미 지역 배터리 공급 협약으로 전기차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양사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을 바탕으로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영찬 SK온 경영지원총괄은 “양사간 협력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북미 자동차 시장의 전동화 과정에서 양사가 확고한 위치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IRA 대응 위한 전략적 결정

현대자동차가 SK온과 협력해 합작공장 설립에 나서는 이유는 미국 내 전기차 생산을 대폭 늘려야 하는 상황에서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에 따라 원활한 배터리 수급이 필수 조건이기 때문이다. 합작 공장을 통해 양사는 북미 제조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주는 미국 IRA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SK온과 미국에서 배터리 합작 공장을 설립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기 생산 규모는 연 20GWh(기가와트시)가 될 전망이다. 이는 연간 최대 30만대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합작 공장 위치는 현대차 전기차 전용 신공장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가 들어서는 조지아주나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이 위치한 앨라배마주 등이 거론되고 있다. 현대차의 완성차 공장과 인접한 곳에 배터리셀 공장을 지어야 부품 조달이나 공급망 관리 측면에서 ‘규모의 경제’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지난달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공장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착공식을 진행했다. 조지아주 공장 건설에 55억 달러(7조8760억 원)를 투자해 2025년 상반기부터 연간 3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예정이다.

한편 현대차는 LG에너지솔루션과도 합작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현대차는 SK와 LG, 중국 CATL로부터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받아 왔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IRA 시행으로 인해 CATL 대신 한국 배터리 업체와 협력을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시장에서의 중장기 전기차 판매량 목표치를 83만대로 책정한 바 있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60GWh 규모의 배터리 양산 체제가 필요하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합작 방식으로 미국에서 연산 20GWh 수준의 배터리셀 공장을 3곳 이상 지어야 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다만 현대차는 SK온과 미 배터리 공급 협력 MOU를 맺은 것 외에는 아직까지 아무 것도 정해진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합작 공장 설립까지는 아직 먼 미래의 이야기”라며 “구체적인 투자 금액이나 투자 위치 등은 정해진 게 없다”고 밝혔다.

원성열 기자 sereno@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