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골대사학회(이사장 백기현)는 ‘골다공증 진료지침 2024’을 출간했다.
새 골다공증 진료지침은 8월 25일 열린 ‘제27차 골다공증 연수강좌’에서 처음 공개했다.
대한골대사학회는 내과, 정형외과, 산부인과, 재활의학과, 핵의학과, 치과, 영양학 등 여러 분야의 골다공증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다학제 학회다. 2004년부터 골다공증 진료지침을 발간하고 지속적으로 개정해 왔다. 이번 진료지침은 11번째 개정판이다. 포켓북 크기로 제작해 진료 시 가까이 두고 빨리 핵심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골다공증 진료지침 2024’은 총 34장으로 골다공증의 서론, 진단, 치료, 개별적 상황, 치료 중 발생하는 문제점 등으로 구성했다. 개정판에서는 대사질환 노화의 한 축을 담당하는 당뇨병의 증가로 이로 인한 골절 증가도 점차 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에 관한 단원을 추가했다. 골다공증 치료대상은 많은 전문가 단체에서 공통으로 제시하고 있는 치료대상으로 새롭게 정리했다.
아울러, 골밀도, 골표지자, 치료목표와 치료실패 시 약제 변경, 글루코코티코이드유발골다공증 등을 업데이트 했다. 5월 1일을 기준으로 개정된 보험급여도 최신 내용으로 정리하고 아직 부족한 국내 보험 기준의 문제점을 마지막 제34장에 담았다.
대한골대사학회 정호연 지침서편찬위원장 (경희의대 교수, 내분비내과)은 발간사를 통해 “최신 의학정보를 진료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표준화된 최선의 진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는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김재범 기자 oldfield@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