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자동차 관련 기관들과 미국 자동차 관세 대응 대책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 ㅣ 대구시
유관기관 긴밀 협력, 다양한 수출지원 방안 마련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지역 자동차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구광역시가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섰다. 대구시는 3일 오후 3시 산격청사 제1대회의실에서 자동차 관련 기관들과 ‘자동차 관세 대응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오는 5월 초 ‘유관기관 통합 수출 설명회’를 열기로 결정했다.미국은 대구 지역의 최대 수출국이며, 자동차 부품이 대미 수출 1위 품목이다. 2024년 대구의 대미 수출액 2,078백만 달러 중 자동차 부품이 418백만 달러를 차지하며, 이는 전체 수출의 20%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는 지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대책회의에서는 △대구정책연구원의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지역 경제 영향 분석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정부 차원의 정책 방향 및 업계 지원 방안 소개 △대구상공회의소의 지역 자동차 기업 동향 및 애로사항 발표 △코트라의 관세 대응 상담창구 운영 및 해외 무역관 헬프데스크 운영 방안 등이 논의됐다.
특히, 대구시는 5월 초부터 자동차 부품에도 관세가 적용될 예정인 만큼, 기관별 대응책을 마련하는 한편, ‘유관기관 통합 수출 설명회’를 통해 지역 기업의 안정적 수출 판로 확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오는 8일과 9일 양일간 열리는 ‘2025 원스톱기업지원박람회’에서 국가별·품목별 관세 맞춤형 컨설팅을 운영하고, 해외 OEM 파트너 및 대체 공급선 발굴 조사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대구 지역 자동차산업의 업종별 매출 비중은 차체 및 의장(20.3%), 엔진 관련 부품(11.6%), 동력전달 부품(9.5%) 등으로 자동차 부품 의존도가 높다. 따라서 이번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완성차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될 경우, 국내 조달 부품의 대미 수출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또한, 미 정부가 필요에 따라 관세 적용 부품의 범위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어 지역 자동차 업계의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미국의 불안정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지역 기업의 대미 수출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대미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 자동차 산업에 대해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다양한 수출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 ㅣ나영조 스포츠동아 기자 localdk@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나영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