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 주스의 비밀-알고 보니 헉?

입력 2010-09-03 10:57:24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많은 사람들에게 오렌지 주스는 순수함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듯하다. 빛나는 햇빛 아래서 황금빛으로 탐스럽게 익은 오렌지는 사람들에게 풍요로움과 상쾌함의 이미지를 심어줬고 이 오렌지의 과즙으로 만든 오렌지 주스는 순결한 자연식품의 이미지를 갖춰온 듯하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이미지 조작의 결과일 뿐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오렌지 주스에서 신선함과 순결함을 떠올리는 것은 기만적인 마케팅기법과 광고 때문이라는 것이다.

‘신선함이 조작된 오렌지 주스의 비밀’ (앨리사 해밀턴 지음, 신승미 옮김, 거름 출판사)은 100% 순수한 오렌지 주스라고 선전하는 많은 오렌지 주스들에 의심의 시선을 보낸다.
저자는 한 발 더 나아가 순수하지 않은 오렌지 주스가 어떻게 순수한 오렌지 주스처럼 포장되고 선전되어왔는지를 추적한다.

저자는 기만적인 광고와 마케팅 기법 때문에 소비자들이 현혹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결국 소비자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해 더 정확한 내용을 알 권리가 있으며 판매회사들은 정확하게 그 내용을 공개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정직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신뢰가 바탕이 되지 않을 때 상품의 생산 및 소비에 토대를 둔 현대 사회의 많은 부분이 썩어들어 갈 수 있다는 인식에까지 나아간다. 오렌지 주스를 둘러싼 소란은 그 한 예일 뿐이라는 것이다.

저자에게 있어서 문제의 발단은 어느 서류 보관서에서 오래된 서류 뭉치를 발견한 것이었다. 그 것은 오렌지 주스에 대한 1960년대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 공청회 자료였다. 이 공청회 자료를 통해 오렌지 주스에 대해 일대 논란과 소란이 일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오렌지 주스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를 내리려던 시도와 함께 이를 바탕으로 한 상품 규정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시도는 철저한 실패로 귀결되었다고 본다. 오렌지 주스 생산업자들의 집요한 요구와 규정을 피해 새로 도입된 각종 제조 기법들 때문에 사실상 오렌지 주스에 대한 FDA의 규정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또 오렌지 주스 제조 및 판매 업체들은 신선하지 않은 오렌지 주스를 신선한 것처럼 믿게 만들기 위해 온갖 광고를 동원했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오렌지 주스의 폭발적인 성장을 2차 대전에서 찾는다. 군인들에게 풍부한 비타민 C를 제공하기 위해 오렌지 주스가 적극 개발되었고 이후 시장으로 유통되기 시작됐다고 본다. 대량으로 오렌지 주스가 소비되자 더 많은 오렌지 주스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기법이 동원됐다. 단순히 과즙을 짜서 캔에 담아서는 유통기한이 문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맛이 신선도를 유지 하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법이 ‘동결농축과즙’이다. 이는 오렌지의 수분을 증발 시킨 뒤 얼려 농축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맛이 문제였다. 그러자 농축된 오렌지 주스에 갓 짠 신선한 오렌지 주스를 첨가해서 섞는 방법(컷백)이 동원됐다. 이렇게 해서 동결농축과즙과 비교적 신선한 오렌지 주스를 섞어 만든 오렌지 주스가 유통됐다. 이밖에 오렌지를 분말로 만든 뒤 물을 부어 주스로 만들어 먹는 방법(환원 오렌지주스)등이 개발됐다.

이러한 오렌지 주스들이 마치 오렌지를 방금 따서 짜낸 듯 한 제품으로 홍보되자 FDA는 오렌지 주스의 엄격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느껴 공청회를 열었던 것이다. 이후 공청회에서는 오렌지 주스 제조업체들은 FDA를 상대로 교묘한 머리싸움을 벌인다.

저자에 따르면 오늘날 오렌지 주스를 100% 순수하다고 믿기 어려운 이유는 오렌지 주스에 향미료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향미료를 오렌지 성분으로 보느냐 아니냐 이다.

오렌지 주스를 농축하는 과정에서 오렌지 기름과 수분이 증발한다. 이로 인해 오렌지 특유의 맛과 향이 감소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새로운 물질을 넣는다. 이 것이 향미료다. 제조업체들은 이 향미료의 구성 성분이 실제 오렌지에서 추출한 오렌지 진액과 오렌지 기름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많은 제조업체들이 이 향미료의 정확한 성분을 밝히지 않고 있다고 저자는 폭로한다. 이로 인해 인공 향미료가 첨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각종 기름과 고무 성분이 들어갈 수도 있다고 본다. 또 설령 오렌지에서 추출한 진액과 오렌지 기름을 첨가한다 하더라도 문제는 남는다. 이 것을 첨가한 것이 과연 순수한 오렌지 주스로 볼 수 있느냐이다. 반대론자들은 이러한 과정을 거친 오렌지 주스는 분명히 순수한 오렌지 주스로 볼 수 없고 가공된 오렌지 주스라고 주장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진짜 오렌지 주스와 맛이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저자는 순수 오렌지 주스라고 광고하는 제조업체들이 기만적이라고 본다. 또 오렌지 성분뿐만 아니라 각종 색소, 당분 등을 첨가한 오렌지 주스들도 마치 순수한 오렌지 주스인 것처럼 온갖 이미지 마케팅을 하고 있는 점도 우려한다.

제조 및 판매업체들은 정확한 상품정보를 제품에 표시해야 한다. 그러나 내세우고 싶지 않은 내용들은 거의 눈에 띄지 않게 표시하는 기법을 쓰거나 애매한 제품명을 붙이거나 함으로 해서 소비자들을 현혹시키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시각이다. 문제는 이러한 현실을 철저히 규제하는 규정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모든 것을 고려해서 세세히 규정하려다 보면 한정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제나 구멍은 있다. 이러한 현실을 저자는 우려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찾기 위해 나서야 하며 제품의 광고를 액면 그대로 믿지 말고 주체적으로 상품정보를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이 저자의 시각이다.

동아닷컴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