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썸, 사진|동아닷컴 국경원 기자 onecut@donga.com
키썸이 발매한 EP앨범 'Musik'을 들어보니 문득 스윙스는 이 앨범을 듣고 어떤 평가를 내렸을가가 궁금해졌다. 모르긴 몰라도 '쇼미더머니3'에서와 같은 평을 내리긴 힘들것이라고 예상해 본다.
키썸(본명 조혜령)이 23일 자정 발매한 EP앨범 'Musik'은 '24살 조혜령의 현재'를 과장없이 그대로 보여주겠다는 생각으로 만든 앨범이다.
당연히 키썸이 직접 모든 가사를 썼고, 작곡에도 모두 참여했다. 게다가 그 흔한 피처링조차도 없이 모든 곡에 자신의 목소리만 담았다. 그야말로 순수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자신의 목소리로 자신의 음악에 담아낸 앨범이 'Musik'인 셈이다.
그만큼 'Musik'은 키썸이 강한 애착을 보일 수 밖에 없는 앨범이다. 실제 키썸은 인터뷰를 시작하고 "앨범에 대한 소개와 자랑을 해달라"라고 묻자 할 말이 없어서가 아니라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아서 어떤 말부터 해야하나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키썸은 밤새 준비했다는 메모장을 꺼내 보았고 기자가 그것을 들여다보자 "내가 악필이다"라며 황급히 메모장을 다시 집어넣었다. 곁눈질로 잠시 본 것이긴해도 거기에는 이번 앨범을 발표하면서 하고 싶었던 말들이 빼곡히 적혀있었다.
키썸은 "이번 앨범은 정말 열심히, 열정과 혼을 담아서 작업을 했다. 작곡·작사는 물론이고 뮤직비디오랑 다른 것도 참여를 했다. 내가 원래 귀차니즘이 심해서 이런 걸 잘 안하는데, 앨범 소개글도 다 내가 직접 쓴 거다. 심지어 처음에는 이것보다 훨씬 길었는데 줄여서 이만큼이 된 거다"라고 말하며 이번 앨범에 들인 공이 얼마나 큰지 밝혔다.

키썸, 사진|동아닷컴 국경원 기자 onecut@donga.com
이번 미니앨범을 두고 '정말 애착이 가는 아이들'이라고 표현한 키썸은 "앨범의 내용은 다 실화이고 경험이다 올해와 작년에 느낀 감정을 담았다"라고 입을 열었다.
이어 키썸은 "원래 일기 같은 거 쓸 때, 쓰는 중간에 보면 부끄럽고 그러지 않나. 작사할 때도 마찬가진데, 이 곡들은 작업을 하던 거도 남들에게 보여줬다. 음악에 대한 자신감이 있던 거 같다. '내 음악은 좋은 음악, 그러니까 많은 분들에게 들려주고 싶다' 그런 느낌이다"라고 당당하게 앨범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좀 더 구체적인 앨범의 분위기를 대해 묻자 "나의 일상, 그냥 삶이다. 이번 앨범은 외로운 곡이 많다. 요새 외로움을 많이 탄 거같다. 그게 연애를 안해서 그런 거 같기도 하고, 이 생활을 하다 보면서 외롭기도 한 거 같다"라고 설명했다.
또 키썸은 "사실 예전엔 가수들이 공허하다고 하는 이유를 몰랐다. 그런데 불과 몇달전에 행사를 하고 차를 탔는데 갑자기 너무 공허하더라. '이게 뭐지? 왜 이렇게 외롭지?' 그러다가 집에 들어와서 맥주 두 잔을 마셨다. 그래서 ('맥주 두 잔'이)탄생하지 않았을까"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자신있게 내놓은 앨범인 만큼 이번 활동을 통해 듣고 싶은 말도 다부지다. 키썸은 "이번 앨범을 통해서 키썸이 아티스트로 거듭났구나 라는 이야기를 듣고 싶다. 작곡에 참여한 것도 처음이고, 그외의 것들도 처음 도전한 거라 이 앨범들이 자랑스럽다. 부끄럽지 않고 후회도 안할 거 같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잠시 이번 앨범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던 이야기가 오가기도 했으나 인터뷰의 방향을 다시 앨범 이야기로 되돌린 건 키썸이었다. 키썸은 먼저 "아직 타이틀곡에 대한 이야기를 안했다"라며 수록곡에 대한 이야기를 늘어놓기 시작했다.
'Musik'의 타이틀곡은 'NO JAM'이지만 키썸이 가장 아낀다고 밝힌 곡은 더블타이틀인 '옥타빵'이다.
키썸은 "'NO JAM'이 타이틀인데, 여름에 어울리는 신나는 곡이다. 누구나 재미없는 시기가 있지 않나. 그걸 벗어나자는 내용이다. 내 몸을 쉐이킹하고 싶은 노래다"라며 "사실 내가 제일 사랑하느 곡은 '옥타빵'이다. 가장 자전적인 곡이고, 가장 먼저 작업을 시작했는데 가장 늦게 마무리 된 곡이다. 내가 초심을 잃었다고 생각될 때 들려주면 초심을 찾을 거 같은 곡이다"라고 설명했다.
'옥타빵'이라는 제목도 독특하다. 유명한 클럽의 이름을 빗대 중의적으로 표현한 제목이 아닐까 생각했지만 키썸은 "그냥 내가 원래 표기를 멋대로 할 때가 있다. 그냥 적고 싶은대로 적은 거지 다른 의미는 없다"라고 말해 기자를 무안하게 만들었다.

키썸, 사진|동아닷컴 국경원 기자 onecut@donga.com
타이틀곡은 'NO JAM'과 '옥타빵'으로 정해졌지만 선공개곡인 '맥주 두 잔'도 많은 인기를 누렸고, 이 곡의 탄생스토리도 상당히 흥미로웠다.
'맥주 두 잔'에 대해서 키썸은 "유성은과 '질투'로 활동할 때 새벽 5시에 샵을 들려야하는 생활을 한달 가까이 했다. 그러면서 직장인의 애환을 느낀 거다. 항상 5시에 나간 건아니지만 마음 편히 2차를 갈 수 없는 심경, 1차에서 끝내려면 맥주 2잔으로 안 끝나고 그런 애환을 담은 곡이다. 다른 친구들은 2차에 가서 더 마시는데 혼자서 집에 들어가는 쓸쓸히 그런 감정을 느껴서 곡을 썼다. 또 원래 맥주를 좋아하기도 한다"라고 탄생 배경을 밝혔다.
이에 주량을 묻자 "잘 마시는 건 아닌데 (최대)2500~3000cc정도까지는 마시는 거 같다"라고 밝혔다. 또 그 정도면 많이 마시는 거라고 하자 키썸은 "한창 마실 나이다"라며 호탕하게 웃었다.
이어 "요즘에는 또 많이 마시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요즘은 '맥주 두 잔'이 내 곡인 거 같다. 맥주가 너무 마시고 싶다"라고 맥주 애호가의 면모를 드러냈다.
당당하게 세상에 선보인 앨범이지만 키썸은 여전히 '외모 덕을 본 랩퍼'라는 평을 듣기도 한다. 실제로도 귀여운 비주얼을 지니고 있는데다가 스윙스의 발언이 워낙에 강렬했던 탓이다.
이런 평에 대해 키썸은 "스윙스의 말 때문에 더 그랬던 거 같다"라고 입을 열었다.
이어 "솔직히 내가 그때 운 이유는 스윙스의 평때문이 아니라 랩을 못해서, 가사를 까먹어서 운 거다. 그게 억울해서 운 건거지 스윙스의 말을 듣고 바로 운 게 아니다. 솔직히 그때는 스윙스가 무슨 말을 했는지도 아예 기억이 안난다. 또 나는 외모를 잘 가꾸지 못한다. 화장도 못하고 평소에 꾸미는 거에 관심이 없다. 그럴 바에 그 돈을 모으자는 주의다. 외모는 그리 신경 안 쓰는데 그 말(스윙스의 평)때문에 더 그런 거 같다. 댓글 보면 꼭 그 말만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걸 보면 그냥 웃는다. 악플도 다 보는 편인데, 보고 짜증내고 털어버린다. 참으면 병 나는 성격이라 표출을 한다. 그래도 이번 앨범을 들으면 외모는 생각 안 할 거 같다. 이번 앨범을 들으면 키썸이 자기 색을 찾은 거 같다는 얘기를 할 거다"라고 자신했다.
외모에 대해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고는 했지만, 팬들이 '리즈 시절 갱신'이라고 말해주는 것에는 고마움을 드러냈다. 키썸은 "팬들이 그렇게 말해 주면 물론 기분이 좋다. 그런데 너무 매번 활동 때마다 리즈 갱신이라고 하는 거 같다"라고 너스레를 떨어 웃음을 선사했다.
이러니 저러니해도 키썸은 '언프리티 랩스타 시즌1'의 출연진 중, 차트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고 있는 랩퍼이다. 즉 키썸은 대중들을 끌어들이는 매력과 흡입력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다.

키썸, 사진|동아닷컴 국경원 기자 onecut@donga.com
스스로 인기 비결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 지 묻자 키썸은 "아무래도 공감을 해서 그렇지 않을까. '맥주 두 잔'은 직장인분들이 힐링이 많이 된다고 했다고 들었다. 나와 같은 외로움을 느낀 분들을 위해 쓴 곡이고 공감하는 분이 많았다"라고 입을 열었다.
이어 "사실 (정확한 이유는)나도 잘 모르겠다. (나에게)뭔가 매력이 있나보다. 듣기 편하고 공감이 많이 돼서? 또 내 목소리를 궁금해 하는 거 같다. 청자들이 내가 어떤 랩을 할지 궁금해하는 거 같다"라고 말햇다.
본인도 알 수 없는 이 신비한 매력으로 이미 음원 차트 1위를 경험해 본 키썸은 이번 앨범의 목표로 차트를 넘어 일상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음악을 희망했다.
키썸은 "그냥 이번 앨범의 모든 곡이 사람들의 일상에서 듣고 싶은 노래가 됐으면 좋겠다. 잠잘 때, 씻을 때, 놀러갈 때, 기쁠 때, 화날 때 등등 항상 듣고 싶은 노래가 됐으면 한다"라며 "나는 잠잘 때 항상 틀어놓고 자는 노래가 있다. ('Musik'도)그렇게 반복해서 들어도 좋은 노래가 됐으면 한다"라고 당부했다.
동아닷컴 최현정 기자 gagnrad@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