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온종합병원 “10년 사이 65세 이하 치매환자 3.6배 늘어”

입력 2024-03-18 17:11: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한 환자가 뇌 영상 검사를 받고 있다. 사진제공ㅣ온종합병원

최근 40~50대로 발병 연령대 젊어져
노인성 치매와 비교해 유전적 특징 뚜렷
CT, MRI 등 뇌 영상 검사로 진단
최근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조발성 치매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지난 2021년 기준 국내 조발성 치매 환자는 전체 치매환자 90만여명의 8%에 그치지만 최근 들어 급증하는 추세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조발성 치매환자가 1만 7772명이었으나, 2019년 6만 3231명으로 나타나 10년 새 3.6배나 증가했다.

흔히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진 치매가 요즘 들어 40~50대로 발병 연령대가 젊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치매를 ‘조발성 치매’라고 한다.

조발성 치매는 노인성 치매에 비해 진행이 빠른 편이다. 기억력 감퇴 같은 인지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언어장애·운동장애 등 임상 증상이 다양하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조발성 치매의 진단은 자세한 병력 청취와 함께, 신경학적 검사, 심리 검사, 뇌 영상검사 등을 통해 이뤄진다.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조발성 치매의 발병 시기, 증상의 진행 속도, 동반 증상 등을 파악한다.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서는 인지기능 저하 외에 다른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심리 검사를 통해 인지기능의 저하 정도와 일상생활 수행 능력도 평가한다.

뇌 영상검사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 영상(MRI), 자기공명 혈관촬영술(MRA)을 통해 뇌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을 확인한다.

조발성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 원인인 경우가 많으며 전측두엽 치매, 혈관성 치매 등도 원인으로 꼽힌다. 젊은 세대에서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는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뇌 기능이 저하돼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지난 2021년부터 조발성 치매의 원인 진단을 위해 전국 31개 병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조발성 치매환자 코호트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김은주 부산대병원 교수팀은 국립보건연구원으로부터 조발성 치매환자 코호트 연구용역을 의뢰받아 수행한 결과 조발성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유전자를 새로이 규명했다.

전두측두엽치매의 한 아형인 ‘의미변이원발진행실어증’ 환자로부터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유전인자 ANXA11의 새로운 병원성 변이(p.Asp40Gly)를 처음 발견했다. 의미변이원발진행실어증은 말하거나 쓰인 각각의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어와 사물을 연결, 이름 기억 등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조발성 치매의 증상으로는 기억력이나 판단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이 있다.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거나 기억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으며 단어가 쉽게 떠오르지 않거나 말을 이해하는 데도 힘들어한다. 감정 기복이 심해지거나 예민해지는 성격 변화도 보이고 방향 감각을 상실하거나 길 찾는 걸 어려워하는 등 공간지각능력도 크게 떨어진다.

조발성 치매의 치료로는 약물치료와 비 약물치료가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나 NMDA 수용체 길항제 등의 약물을 사용한다. 비약물 치료로는 인지 재활 치료, 작업 치료, 언어 치료, 심리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환자 삶의 질 향상을 돕는다.

가족들에게 환자를 돌보는 데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쳐 가족 간 유대를 강화함으로써 치료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조발성 치매를 예방하려면 평소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뇌의 기능을 저하하고 디지털 치매와 건망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지양해야 한다.

배효진 부산 온종합병원 뇌신경센터 과장(신경과전문의)은 “조발성 치매는 경제활동을 활발히 하는 연령층에게 발생하므로 환자는 경력이 단절되고 피부양자들은 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 부딪히게 될 가능성이 높아 사회·경제적 부담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치매 관련 국내 연구는 대부분 노인성 치매에 치중돼 있어 조발성 치매에 대한 기본적인 역학 특성과 인구학적 통계 등도 확립돼 있지 않다”며 국내 환자의 정확한 임상, 유전적 특성 파악을 통한 예방, 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 기반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부산 | 김태현 기자 localbuk@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