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준 연봉 억대 수직상승, 부상 시름 봉중근은 얼마야?

입력 2011-12-22 07: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성과주의를 바탕으로 한 LG의 신연봉제는 확실한 동기부여는 되지만 매년 후폭풍을 감내해야 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봉중근은 올해 3억8000만원의 연봉을 받았지만 팔꿈치 부상으로 단 4경기에 등판했다. 신연봉제를 그대로 반영하면 대폭 삭감은 불가피하다. 스포츠동아DB

올시즌 승리기여도 최하위…대폭삭감 가능성

박현준의 연봉은 왜 1억3000만원일까? 봉중근의 연봉은 얼마가 될까?

LG 신연봉제도의 ‘설계’를 알아야 ‘산출’ 궤적을 파악할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승리공헌도(win share) 50%를 밑바탕에 깔고, 여기에 구단 내부고과 50%를 반영해 연봉이 산출된다. 지난해에는 이 ‘승리공헌도’ 영역의 비중이 절대적이어서 ‘벼락부자’와 ‘빈털터리’가 양산됐다. 타 구단에 비해 신상필벌 성과주의가 극단화된 시스템에 가깝다.

그러나 구단이 개입할 여지가 넓어지면서 그나마 올해는 융통성이 발휘되고 있다. 일례로 박현준은 LG의 국내투수 중 고과 1위임에 틀림없으나 바깥의 기대치와 달리 ‘윈 셰어’가 생각만큼은 높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해의 방식이었다면 1억원 안팎이었다. 하지만 무형적 공헌도 내지는 선수의 사기를 고려한 구단의 의중이 반영된 덕에 3000만원이 추가됐다는 설명이다.

이런 방식은 대표적 삭감대상자로 분류될 봉중근의 연봉 산정에서도 중대한 요소일 터. 봉중근의 2011년 연봉은 3억8000만원이었다. 2011년 부상, 수술, 재활 탓에 4경기밖에 등판(16.1이닝 1승2패)하지 못했다. ‘윈 셰어’로 평가하면 최하위 수준의 승리기여도다. 이에 야구계에선 봉중근의 연봉이 1억원대 중반으로 떨어질 것이란 얘기가 돌고 있다.

그러나 박현준의 케이스처럼 프런트가 개입하면 액수가 달라질 수 있다. 실제 LG에선 “재활선수는 정상참작을 해주려 한다”는 소리가 흘러나온다. 결국 삭감폭의 열쇠를 쥔 쪽은 LG 프런트다.

김영준 기자 gatzb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트위터@matsri21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