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형모기자의音談패설]서울시향‘퍼커셔니스트’김미연

입력 2009-02-10 00: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Ÿ


세계녹인타타타인생…두드리니열렸다
‘두드리라 그리하면 열릴 것이다.’ 그래서 두드렸고, 그래서 열렸다. 마림바란 악기에 ‘꽂혀’ 염광여상(현 염광여자메디택고등학교) 고적대에서 처음 마림바 말렛(스틱)을 잡았던 소녀는 중앙대 음대를 거쳐 파리국립음악원에서 타악기를 전공했고, 한국 최고의 오케스트라인 서울시향에 입단했다. 2007년에는 벨기에에서 열린 국제마림바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하며 독창성상, 관객상을 함께 거머쥐었다. 두드리자, 그녀의 눈앞에서 인생과 음악의 문이 활짝 열어젖혀진 것이다. 세종문화회관 뒤편 서울시립교향악단 연습실에 들어서니 김미연(29) 씨가 마침 마림바 앞에서 혼자 연습을 하고 있었다. 한 손에 말렛을 두 개씩 끼고는 빠르게 프레이즈를 쳐내려갔다. 마치 곡예를, 아니 춤을 추고 있는 것만 같았다. 근사했다! - 국제콩쿠르에서 우승할 때 관객상도 받으셨죠. 인기상을 받으신 거네요? “처음 80명으로 시작했는데 마지막엔 3명이 남았어요. 그런데 이 중 저를 제외한 2명이 일본인이었죠. 유럽에 유학을 와 있던 일본인 친구들이 응원을 하러 많이 왔는데, 일부러 제 앞에서 신경전을 펴곤 했어요. 종일 각자 방에서 연습하는데 일본 애들 기운이 막 느껴지더라고요. 최종 라운드 전날 연습을 하다 콘서트를 보러 갔어요. 외국인 친구들한테 ‘너무 떨린다’고 하니까 이런 말을 해주더군요. ‘너, 그거 아니? 우리 다 널 응원하고 있어’. 그 말이 너무 힘이 돼서 편하게 할 수 있었어요. 관객들이 다 제 서포터 같은 거예요, 하하!” 그 외국인 친구들이란 것이 본래 사귀었던 친구들이 아니고, 대부분 같은 대회에 출전했던 낙방생들이었다. 김 씨는 패자들을 위해 대리 부활전을 치른 셈이었다. 인터뷰는 인근 스파게티집으로 자리를 옮겨 이어졌다. 테이블 위에 올려진 그녀의 손을 보니 아니나 다를까 손가락 일부가 굳은살 수준을 넘어 기형적인 모양을 하고 있었다. “말렛 때문에 생긴 거죠, 뭐. 가운데 손가락이 특히 그래요. 피나고, 터지고 … 반복하다 보면 이렇게 되죠. 그래서 전 생전 반지를 못 껴요. 손이 돋보이니까. 여자로서는 좀 그렇죠.” - ‘퍼커셔니스트’라고 하죠? 다룰 수 있는 타악기 종류가 얼마나 되나요? “다 해요. 일반적으로 흔히 만나는 짝짝이, 탬버린, 트라이앵글 같은 것까지 치면 굉장히 많죠. 북 종류도 여러 가지구요. 큰북, 작은북, 톰톰, 드럼세트 등등. 몇 십 가지는 되겠죠?” 팀파니도 하지만 서울시향에서는 타악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 팀파니와 타악기 포지션이 분리돼 있기 때문이다. - 마림바와 실로폰을 헛갈려하는 사람들도 꽤 많습니다만. “하하! 마림바는 음을 울리는 공명관이 굉장히 커요. 음역도 낮은 편이고. 실로폰은 높고, 쇳소리 같고, ‘땍때거린다’라고 해야 하나 … 마림바와 달리 맑은 소리가 나죠. (초등학교 때 많이 쳤죠?) 아! 그건 실로폰이 아니에요. 글로켄슈필이란 악기죠. 실로폰은 장미나무로 만들어요. 마림바도 그렇고. 금속으로 건반을 만든 타악기는 글로켄슈필과 바이브러폰(비브라폰)이 있죠.” - 오케스트라 타악기주자를 두고 심하게 말해 ‘놀고 먹는다’라는 시각도 있는데요? “억울하다고까지는 아니더라도 저희 입장에선 할 말이 많죠. 오케스트라란 것이 퍼즐과 같거든요. 한 조각이라도 없으면 완성이 안 돼요.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 조각이란 건 없잖아요. 우린 폭발력을 갖는, 터뜨리는 악기에요. 그런데 음악이란 것이 매번 터뜨릴 수는 없잖아요. 제때, 제대로 터뜨리기 위해서는 바이올린의 모든 파트도 알고 있어야 해요. 다른 연주자들은 연주를 해가면서 흐름을 탄다면, 우리는 안 하면서 타고 있어야 하는 거죠. 그래야 ‘딱’ 나와야 할 때 나올 수 있거든요.” 김미연 씨는 타악기에 대해 ‘굉장히 위험한 악기’라는 표현을 썼다. 생각해 보니 그도 그렇다. 교향곡 4악장 종반, 그야말로 절정의 순간에 심벌즈가 돌연 뜬금없이 ‘쨍’ 한다면?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바이올린이야 머릿수가 많으니 좀 틀려도 은근슬쩍 ‘묻어갈 수’ 있지만 타악기 주자는 그렇지도 못할 것이다. 그야말로 무한책임에 가깝다. 타악기는 고독한 악기인 것이다! - 연주를 안 할 땐 뭘 하시나요? “친구들과 그래요. ‘야, 정말 우린 취미도 없다’. 저희가 연주 안 하는 시간엔 다른 연주 보러 다니거든요. 부족하다고 느끼니까. 3박 4일 정도만 시간이 나도 일본 같은 곳에 가서 NHK필 연주보고, 휴가 10일이면 유럽도 가고. 가서 ‘나는 서울시향 누구인데, 배우고 교류하고 싶다’그러면 굉장히 놀라죠. 같은 입장인데, 자기네는 그러지 않으니까.” ‘친구들과 노래방 가면 탬버린 치라고 졸라대지 않냐?’는 우문에 ‘절대 안 하죠’라 웃었다. 혹시나 싶어 ‘노래방에서 써먹게 탬버린 연주법 하나만 알려 달라’고 해봤지만 김 씨는 그냥 웃을 뿐이었다. 인터뷰가 있은 지 얼마 뒤 서울시향의 연주회를 다녀왔다. 2부에서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셰헤라자데’가 연주됐고, 4악장 ‘바그다드의 축제’에서 팀파니, 심벌즈, 트라이앵글, 작은북 등이 모처럼 총출동했다. 연주회가 끝나고 집으로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문자 하나를 받았다. ‘오늘 연주 어땠나요? 물론 탬버린도 보셨겠죠? ^^ 김미연’ 양형모 기자 ranbi@donga.com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