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 Talk!카톡!] 국가위상 UP ‘F1 코리아 그랑프리’, 적자폭 - 부가가치 합의점 찾아야

입력 2013-07-16 07: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F1(포뮬러원) 코리아 그랑프리가 올 해로 벌써 4회째를 맞이하게 됐다.

2010년 10월 전남 영암에서 첫 대회가 개최될 때까지만 해도 많은 이들은 왜 F1이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라 불리는지 실감하지 못했다. F1을 실제로 본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3년 동안 매년 16만명 가량의 관람객이 경기장을 찾아 서킷을 질주하는 머신의 스피드와 짜릿한 굉음을 직접 경험하고, 각종 언론 매체와 입소문을 통해 세계 최고의 모터스포츠인 F1의 매력이 직간접적으로 널리 전파되면서 F1은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킬러 스포츠 콘텐츠로 자리매김해가고 있다.

또한 F1 개최 이후 한국 모터스포츠 문화는 질적으로 크게 성장했다. 각종 대회 숫자가 늘어난 것은 물론 경기 진행 요원, 조직위 등 다양한 경험이 쌓이면서 국내 경기의 수준도 동반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무형의 효과 외에 실제로 F1 개최가 지역 경제와 국가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한 홍보 효과는 상상을 초월한다.

한국개발연구원(KID)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2년 대회의 경우 직접 소비지출효과(숙박·요식·관광 등)는 389억원, 생산유발 1266억원, 부가가치유발 494억원, 고용유발 1993명으로 분석됐다. 또한 국가 홍보 효과는 1505억원, 기업이미지 제고 1879억원, 기업 수출 증대 효과 5조4905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숫자로 본 경제학 외에도 F1 개최는 국가의 위상과도 직결된다.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이지만 이와 관련된 자동차 문화는 후진국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F1을 개최하면서 자동차 문화 선진국의 3대 조건인 서킷, 박물관(모터쇼), 레이스(F1 그랑프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됐다.

이제 F1 코리아 그랑프리 개최의 관건은 실제 대회 운영비용의 적자폭과 F1 개최가 가져오는 부가가치 사이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점을 찾는 일이다. 용인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적자폭을 줄이고, 더 많은 연구와 아이디어를 통해 다양한 부가가치를 내야 F1은 지속 가능한 대회가 될 수 있다.

F1 개최국 중 모나코 그랑프리를 제외하고는 실제로 대회 운영을 통해 흑자를 내는 곳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대륙의 국가들이 F1 개최를 고집하는 이유는 F1을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가 가능하고 자동차, 관광, 항공 숙박 등 유관 산업을 통해 파생되는 경제효과가 매우 크며, 국가 이미지 향상으로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더 크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F1 코리아 그랑프리가 지향해 나가야할 방향이자 존재 이유다.

원성열 기자 sereno@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트위터 @serenowon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