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육상, 올림픽 퇴출…美·자메이카 반색?

입력 2016-07-22 05:45: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 “출전 불허”
육상 강호들 ‘메달 경쟁’ 반사이익


보름 남은 2016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개막. 새롭게 ‘올림픽 식구’로 합류한 남수단과 코소보를 포함한 205개국은 막바지 준비에 돌입했지만, 딱 1개국의 출전 여부가 가려지지 않았다. 조직적인 집단 도핑(금지약물) 의혹을 받는 러시아다. 정부가 자국 선수들의 약물 복용에 개입됐다는 정황이 드러나 세계를 경악시킨 가운데,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1일(한국시간) “러시아의 올림픽 출전 관련 법리적 검토를 시작했고, 다음 주까지는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을 외신을 통해 전했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지난해 자료를 근거로 러시아육상선수들의 올림픽 등 국제대회 출전금지 처분을 내린 것에 대해 러시아가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소한 상황을 반영한 결정이다. CAS가 이날 IAAF의 손을 들며 러시아 육상의 올림픽 출전을 불허하면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약물까지 조작한 러시아

사태의 출발은 2010년이다. 밴쿠버동계올림픽에서 충격적인 성적(11위)으로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은 러시아는 선수단의 기량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는데, 그 중 하나가 약물 프로그램이었다. 2011년부터 지난해 여름까지 체육부와 연방보안국(FSB)은 물론 러시아반도핑기구(RUSADA)가 참여해 도핑 테스트를 위해 채취한 소변 샘플을 바꿔치기하는 등의 방식으로 자국 선수들이 복용하는 금지약물을 숨기거나 은폐했다. 육상, 역도 등이 중심인 이 사실을 정부부처 고위층도 알고 있었다. 구소련 시절, 체제 선전의 방편으로 스포츠를 택해 약물복용을 권장했거나 용인했던 과거로 회귀한 셈이다. 그로 인해 2012런던올림픽과 2014소치동계올림픽 등 주요 메이저대회에서 러시아는 호성적을 냈다.

물론 끝까지 숨길 순 없었다. 일부의 양심선언이 나오면서 검은 실체는 지난해 말부터 서서히 드러났다. 당시 IAAF는 약물 복용이 심각한 러시아와 케냐의 국제대회 출전금지를 결정했는데, IOC는 최근까지도 러시아에 나름 우호적이었다. 추가 도핑 테스트를 받는 조건으로 러시아육상선수들의 참가를 허용한다는 입장도 6월 나왔다.

그런데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다. 최근 세계반도핑기구(WADA) 독립위원회는 육상뿐 아니라 30여개 종목·580여건의 샘플 바꿔치기가 이뤄진 정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하며 러시아를 리우올림픽에서 제외할 것을 촉구했다. 새로운 국면에 IOC는 긴급 집행위원회를 열고 CAS 판결을 지켜보겠다는 뜻을 밝혔고, CSA는 결국 러시아의 출전을 불허했다.

러시아 퇴출 예상…올림픽 판도는?

4년 전 런던대회에서 러시아는 금24·은26·동32개로 4위에 올랐다. 육상이 8개로 가장 많고, 레슬링(4개)∼유도·체조(이상 3개)∼싱크로나이즈드(2개)∼다이빙·복싱·카누·배구(이상 1개) 등이 그 뒤를 따랐다. 결국 육상이 빠지게 되면서 파장은 엄청날 전망이다. 육상이 주력종목인 미국, 영국, 자메이카 등이 특히 반색하는 이유다. ‘러시아육상 퇴출’이 처음 거론됐을 때부터 미국과 영국 언론들이 꾸준히 러시아의 도핑 실태를 거론한 이유 역시 여기에 있다는 해석이 있다.

어쩌면 한국도 웃을 수 있다. 메달 유망종목으로 꼽는 유도와 레슬링에서 좀더 수월한 레이스를 기대할 수 있다. 육상 역시 남자경보에서 선전할 가능성이 커진다. 여기에 손연재가 나설 리듬체조에선 러시아의 원투펀치 마르가리타 마문, 야나 쿠드랍체바가 1·2위를 다투리란 전망이 많았는데, 어쩌면 최상위권 진입도 노려볼 만한 상황이 열린다.

반면 미국과 올림픽 우승을 다툴 것으로 보이는 중국은 육상에서 기대되는 이득이 많지 않아 오히려 긴장하고 견제하는 분위기다.

남장현 기자 yoshike3@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