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마사회 도핑검사소.
1, 2, 3위 경주마 시료 채취 의무
AORC 국제시험서 공신력 증명
국제협력 통해 도핑 예방에 앞장
최근 진짜와 가짜를 판별하는 예능프로그램인 tvn ‘식스센스’에 ‘하루 종일 말 소변만 받는 직업’이 등장했다. 휘파람 소리로 말의 소변을 유도하던 ‘시료채취사’의 존재는 진짜로 밝혀졌다.AORC 국제시험서 공신력 증명
국제협력 통해 도핑 예방에 앞장
한국마사회 도핑검사소 소속인 시료채취사는 하루 평균 약 17두의 경주마 소변 샘플을 채취한다. 경주에서 1, 2, 3위를 차지한 경주마들은 경주 직후 의무적으로 도핑검사소로 이동해 시료채취에 응해야한다. 도핑검사소는 경주 전후 채취한 소변과 혈액 샘플을 통해 약 700여 종의 금지약물을 검사한다. 검출된 약물의 종류와 고의성, 검출 횟수에 따라 경주마 관계자는 과태료부터 면허취소, 형사처벌까지 처분이 이어질 수 있다.
‘도핑(Dopping)’의 어원은 남아프리카 원주민들이 흥분제로 사용한 술인 ‘돕(dop)’에서 비롯된다. 도핑은 흥분제를 포함한 각종 약물을 통해 신체 능력을 부당하게 향상하는 행위를 뜻한다. 흔히 도핑이라 하면 올림픽 등 대회에 출전하는 운동선수의 약물검사를 떠올린다. 올림픽에서의 도핑은 20세기 초에도 발견된다. 당시엔 도핑에 대한 제재가 없었기 때문에 공공연하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1960년 로마올림픽에서 한 선수가 흥분제 과다복용으로 사망하며 문제가 불거졌고 1968년부터 올림픽 도핑검사가 시작됐다.
경주마 도핑의 역사는 운동선수의 도핑보다 더 오랜 역사를 가진다. 고대 그리스 시대엔 ‘말의 능력 향상을 위해 인육을 먹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1900년대 초까지는 경주마에게 마약을 암암리에 투여했다고 전해진다. 경주 결과에 다분한 영향을 주었던 경주마 마약투여는 공정성 문제로 불거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11년 최초의 경주마 도핑검사가 오스트리아에서 시작됐다. 이는 올림픽 도핑검사보다 57년이나 앞선다.
1947년에는 미국에서 ‘국제경마화학자협회(AORC)’가 결성됐다. 현재 한국을 포함해 26개국이 소속된 이 협회는 매년 100여 명의 회원이 모여 새로운 경주마 도핑약물과 수법들을 연구, 공유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76년 경주마 도핑검사를 시작했다. 한국마사회는 1997년 국제경마화학자협회 주관 국제숙련도시험에 합격한 이후 올해까지 25년 연속 합격하며 도핑검사 기술의 공신력을 증명해오고 있다.
경주마 도핑은 지금도 발전하며 공정성을 위협하고 있다. 2020년 2월 2000만 달러(240억 원)의 세계 최고 상금이 걸린 ‘사우디컵’에서 경마계를 충격에 빠트린 도핑사건이 발생했다. 경주를 우승하며 1000만 달러의 주인공이 된 미국의 경주마 맥시멈 시큐리티가 경주 후 신종 도핑약물 투여가 발견되며 우승이 취소됐다.
한국마사회 이용덕 도핑검사소장은 “경마의 공정성을 지키기 위해 점점 더 교묘해지는 도핑기법을 추격하고자 한국마사회는 국제협력을 통한 기술향상에 매진하고 있다”며 “전통적인 약물군, 금속, 호르몬, 대사조절제, 유전자요법 등 새로운 도핑 기법에 대한 대응방안도 선제적으로 구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수진 기자 sujinl22@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