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부는 비트코인 광풍

입력 2021-10-20 17:3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다시 부는 비트코인 광풍
내년 1억2000만원까지 상승 전망
20일 전고점 8199만원 향해 질주
선물 EFT 승인이 반전 요인 작용
주식에서 암호화폐로 머니무브
“1억 원 가나요?” 비트코인 역대 최고가 근접

암호화폐 대표주자인 비트코인이 전고점에 다가서는 등 비트코인 광풍이 재현될 조짐이다. 앞서 중국의 고강도 규제로 힘이 빠지는 모습이었지만,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선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한 것이 반전 요인으로 작용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2017년 이후 대체로 10월에 반등하는 패턴을 보인 것도 호재가 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연내 1억 원 고지를 밟고, 내년 초 1억2000만 원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 SEC, 비트코인 선물 ETF 승인에 전고점 ‘바짝’

비트코인은 20일 오전 10시 기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7928만5000원을 기록하는 등 전고점인 8199만4000원을 향해 질주하고 있다. 이는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첫 거래된 비트코인 선물 ETF인 ‘프로셰어 비트코인 스트래티지 ETF’ 때문으로 풀이된다. ‘비토(BITO)’라는 종목 코드로 거래됐으며, 40.88달러에서 시초가를 형성한 뒤 4.5% 상승한 41.8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거래규모는 10억 달러(1조1785억 원)에 이른다.

ETF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이번 비트코인 ETF는 현물이 아닌 선물을 기반으로 한다. 비트코인 현물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특정 날짜에 약정된 가격으로 비트코인을 사거나 파는 선물 계약을 추종하는 상품이다.

그동안 비트코인에 투자하기 어려웠던 기관투자가에게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암호화폐의 제도권 진입에 물꼬를 텄다는 상징성이 부여되고 있다. 또 향후 비트코인 현물 ETF의 승인까지 견인하는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팽배하다.

업계 관계자는 “프로셰어 외에도 향후 발키리, 인베스코, 반에크 등 비트코인 선물 ETF가 줄줄이 승인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다”며 “그간 SEC가 시세 조작 가능성, 투자자 손실 위험 등을 이유로 비트코인 ETF 승인을 거절하다가, 암호화폐 제도권 편입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뤄지면서 최근 긍정적으로 방향을 튼 것이 고무적”이라고 했다.

“연내 1억 원 간다” 장밋빛 전망도

이러한 기대감과 함께 비트코인이 연내 1억 원 고지를 밟고, 내년 초 1억2000만 원까지 반등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 가격이 2017년 이후 대체로 10월에 반등하는 패턴을 보여 온 것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2018년 10월 5.4% 하락을 제외하면 매년 반등이 반복되면서, 10월이면 투자자의 매수를 유발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기존 주식시장에서 암호화폐 시장으로의 ‘머니무브’도 이뤄지고 있다. 10월 1~18일 국내 4대 암호화폐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에 유입된 거래대금은 약 297조 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코스피 거래대금 약 129조 원을 훨씬 앞서는 수치다. 이는 최근 주춤하고 있는 증시와 달리 암호화폐가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국내에서 개정 특정금융정보법을 시행하고, 미국에서 비트코인 선물 ETF가 승인되는 등 암호화폐 시장이 점차 제도권으로 편입되고 있는 움직임이 투자자에게 신뢰를 준 것도 긍정적 영향을 줬다.

그간 주식투자로 재테크를 해온 직장인 A씨(36)는 “최근 주식시장이 주춤한 탓에 이달 들어 주식에서 암호화폐 시장으로 옮겨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매수했다”며 “갑자기 급락할 수도 있는 만큼 장기투자보다는 단기투자로 전략을 세웠다”고 했다.

하지만 여전히 비트코인의 실질적 가치에 대한 의구심이 걷히지 않아 기존 폭락 사태를 거울삼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경계론도 만만치 않다. “비트코인은 최악의 거품이며 저금리 시대 큰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의 투기판이 됐다”는 회의론과 함께, 가격 변동성이 심하고 국가별로 규제 리스크도 있어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정정욱 기자 jja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