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조작 사면 후폭풍’ KFA, ‘젊은 임원’ 이어 이사진 총사퇴…그나마도 타이밍 놓쳤다

입력 2023-04-05 07: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사진제공 | 대한축구협회

“얼굴마담들이 왜 사표를 내나? 진짜 책임져야 할 인물들은 숨죽였는데….”

대한축구협회(KFA) 이영표, 이동국 부회장과 조원희 사회공헌위원장이 최근 승부조작 가담자에 대한 사면으로 촉발된 일련의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동반 사퇴했다는 소식을 접한 많은 축구인들은 강한 불만을 쏟아냈다.

KFA는 지난달 28일 이사회를 열어 희대의 코미디쇼를 펼쳤다. 과거 각종 비위행위로 징계 받은 축구인 100명을 사면한 것이다. 특히 여기에는 과거 승부조작 가담자 48명도 포함돼 큰 논란이 일었다.

팬들의 관심이 집중된 한국-우루과이의 A매치 킥오프를 1시간 앞둔 시점에 발표하는 ‘꼼수’까지 동원했음에도 여론은 크게 악화됐고, 정치권마저 반대하자 KFA는 사흘 만에 임시 이사회를 열어 ‘없던 일’로 했다. 일체의 소통 없이 정몽규 회장의 입장문 낭독만으로 사태의 진정을 바랐으나, 비상식적 행위로 인한 여진은 계속됐다.

한국축구의 한 시대를 풍미한 이영표, 이동국 부회장과 조원희 위원장은 3일 늦은 밤 각자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KFA 징계 사면과 관련한 이사회 통과를 막지 못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는 뜻을 전했다.

거의 같은 시간대에 사퇴를 전한 이들 3명에 대한 여론도 곱지만은 않다. 각종 축구게시판에는 “짜고 친 고스톱” 따위의 부정적 이야기와 더불어 “정말 책임의식이 있었다면 자리(이사회)를 왜 박차고 나오지 못했느냐”, “어째서 당시에는 반대하지 않았느냐”는 등의 비판이 줄을 이었다.

모두 맞는 얘기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이들 3명에게는 아무런 권한이 없었다는 점이다. 스타플레이어 출신으로 ‘어쩌다 보니’ 명예직과 다름없는 임원이 됐을 뿐이다. 승부조작 가담자들의 사면을 거론한 것도, 추진한 것도 이들이 아니다.

2021년 초부터 활동한 이영표 부회장과 올 1월 직함을 맡은 다른 2명은 당시 이사회에서 사면 대상에 승부조작 가담자들이 포함됐다는 내용을 접하고 당황한 쪽에 가깝다. 애초에 자리를 박차고 나온다고, 반대 목소리를 낸다고 사면을 뒤집을 능력이 없었다. 사퇴 발표 형식이나 시기는 아쉽지만 이들 3명은 명예를 위한 최선의 결정을 내린 셈이다.

당연히 진짜 책임질 사람들은 따로 있었다. 정 회장의 뒤에 숨어 조심스레 사태를 관망한 일부다. 일단 KFA는 4일 “부회장단과 이사진 전원은 4일 임원회의를 마치고 일괄 사퇴를 표명했다”고 발표했다. “임시이사회부터 사퇴 의사를 밝힌 분들이 많았다”고 덧붙였으나, 결과적으로는 ‘젊은 임원들’보다 타이밍이 늦는 모양새가 됐다.

축구계 유력 인사들은 “KFA 현 구조상 부회장들은 전혀 힘이 없다. ‘사면은 안 된다’고 직언하고 반대했어야 할 사람들이 비겁하게 제 역할을 하지 않은 것이 이 지경을 만들었다. 굳이 거칠 필요 없는 일로 아까운 시간만 허비했다”며 혀를 찼다.

남장현 기자 yoshike3@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