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경동 원장(정형외과 전문의)](https://dimg.donga.com/wps/SPORTS/IMAGE/2023/04/05/118695286.4.jpg)
윤경동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실제 봄철에는 조깅이나 등산, 마라톤 등 야외 스포츠 활동 증가로 다양한 부상을 입는 사례가 증가한다. 이때 가장 흔한 다리 관련 부상 중 하나가 족저근막염이다.
족저근막은 두꺼운 섬유띠로 발바닥 전체에 퍼져 있으면서 우리가 뛰거나 걸을 때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족저근막이 등산이나 조깅 등 발의 근육을 갑작스럽게 사용할 경우 미세한 손상에 의해 근막이 파열되면서 염증을 야기하면서 발생된다. 이외에도 긴 시간 동안 서있거나 걷는 직업을 갖고 있거나 체중이 급격히 불어난 경우(임산부), 밑창이 얇은 플랫 슈즈나 슬리퍼를 자주 착용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주요 증상은 발바닥이 붓고 발바닥과 뼈가 만나는 면에 통증이 나타난다. 특히 기상 후 잠자리에서 일어나 첫발을 디딜 때 심한 통증이 느껴지거나 발꿈치 안쪽에 심한 통증이 발생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행히 초기에 심각하지 않은 족저근막염은 자세나 생활 습관의 교정을 통해 호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으로도 효과가 없을 때는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주사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등을 통해 증상 호전을 기대해볼 수 있다.
일산하이병원 관절센터 윤경동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족저근막염은 시간이 지날수록 발바닥에 극심한 통증을 일으켜 보행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족저근막염이 발생하면, 초기에 적절한 치료와 휴식을 통해 조속히 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발 스트레칭해주기, 적절한 체중 유지하기, 편한 신발 착용하기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이수진 기자 sujinl22@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