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뇨장애 있는 중년남성…전립선비대증 확인 필수 [건강 올레길]

입력 2023-09-11 10:51: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사진제공ㅣ민트병원

최근 전립선염, 전립선암 등 전립선(전립샘) 질환이 증가하는 가운데 전립선비대증이 많은 남성들을 괴롭게 하고 있다. 전립선의 크기가 커지면서 요도가 압박되어 소변 줄기가 가늘고 약해지거나 소변을 본 뒤에도 남아있는 잔뇨감이 느껴지거나 방광 자극으로 인한 빈뇨가 있거나 소변을 참을 수 없는 급박뇨 증상이 있거나 요의로 새벽에 자꾸 깨는 야간뇨 등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도 지장을 줄 수 있는 증상들이 발생한다.

전립선비대증의 주요 원인은 ‘나이’다. 일반적으로 50대 이후부터 증상이 생기기 시작하며 60대는 60%, 70대는 70%, 80대는 80%가 증상을 겪을 정도로 나이의 영향이 크다.

민트병원 남성의학센터 김재욱 원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은 “정상적인 전립선의 크기는 호두 크기 정도인 20㏄ 전후”라며 “전립선비대증은 약 40㏄ 이상, 극심한 경우에는 100cc를 넘어가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라면 약물치료 및 생활습관 개선으로 증상 완화를 노릴 수 있다. 하지만 약물치료로 호전이 없다면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 등의 수술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치료가 필요한 단계인 노년층의 경우 수술로 인한 전신마취 등에서 신체 부담이 커서 선뜻 치료를 받기가 어렵다. 이때 고려해볼 수 있는 치료방법중 하나가 ‘전립선동맥 색전술(PAE)’이다.

최소침습 인터벤션 치료인 ‘전립선동맥 색전술(PAE)’은 전신마취가 아닌 국소마취다. 이 치료법은 전립선에 영양소를 공급하는 혈관에 작은 입자로 된 색전물질을 투입, 피의 공급을 막아 전립선을 굶겨 부피를 줄이는 방법이다. 주삿바늘 크기로 혈관 내로 진입하기 때문에 절개 범위가 2mm 정도로 적고 출혈량이 많지 않으며, 수술에 흔히 발견되는 역행성 사정 등의 부작용도 거의 없다. 회복도 수술에 비해 빠르다.

전립선비대증 색전술 치료 여부는 전립선 MRI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전립선 초음파검사보다 피검자의 불편함이 적으며, 전립선암 선별에 더 도움이 된다.

김재욱 원장은 “전립선동맥 색전술은 적합한 대상에게 적용할 경우 절제수술과 비슷한 정도의 개선 효과를 보이며, 치료 후 1년 정도 지나면 환자의 70~80%가 증상이 완화된 상태로 유지된다”며 “또한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유로리프트 등 전립선비대증 비급여 수술에 비해 비용이 경제적”이라고 덧붙였다.

이수진 기자 sujinl22@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