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질환은 흔히 노화로 인한 퇴행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교적 젊은 나이에 생기는 경우도 많아 전 연령대가 주의해야 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퇴행성 고관절염 환자는 9만3079명으로 이 중 약 17%인 1만5987명이 20~40대의 젊은층이었다. 같은 해 고관절 인공관절수술환자 3만175명 중에서도 973명이 20~40대 환자였다.
이동녕 목동힘찬병원정형외과 원장은 “고관절은 엉덩이에 위치한 골반뼈와 대퇴골을 잇는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로 체중을 지탱하고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며 “퇴행성 변화나 외상 등이 질환의 주요 원인이지만 음주나 혈관 손상 때문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젊은 층도 퇴행성 고관절염 생기기 쉬워
퇴행성 고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닳아 염증이 생기고 통증, 변형, 부종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퇴행성이라는 표현 때문에 노년층에서만 생긴다고 오해하기 쉽지만 선천적 또는후천적 요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전 연령층이 주의해야 한다.
고관절은 몸통과 다리를 연결하고 몸을 움직일 때마다 체중을 지탱하고 걷고 뛰는 운동을 할 때 없어서는 안 되는 관절이다. 운동 범위가 넓고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퇴행성 변화도 빠르게 일어나는 부위다. 고관절은 이상이 생기더라도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가벼운 통증으로 여기기 쉽다. 그러나 관절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골절이 되거나 뼈끝이 자라면서 움직일 때마다 극심한 통증을 받을 수 있다.
다리를 자주 꼬고 앉거나 짝다리를 짚는 등 잘못된 자세를 습관적으로 반복하는 경우, 체중이 급격히 증가해 고관절의 압력이 높아져 무리가 온 경우, 평상시 과격한 운동 등이 퇴행성 고관절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젊은 환자들은 사고, 충돌 같은 외부 자극이나 운동으로 외상이 잦은 경우에 주로 남자들 사이에서 많이 발생한다.
●음주 잦으면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도 주의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도 젊은 층이 주의해야 할 고관절 질환이다. 대퇴골 위쪽 끝부분의 둥근 공 모양인 대퇴골두는 골반뼈와 함께 고관절을 이루고 있다. 대퇴골두로 향하는 혈관들이 막혀 영양분, 산소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 괴사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과도한 음주와, 스테로이드 복용 등이 괴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대퇴경부 골절이나 고관절 탈구 등의 외상, 신장질환과 간질환, 잠수병 등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음주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증가시켜 혈액이 쉽게 응고하게 만들어 미세 혈관들을 막아 괴사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술자리가 잦은 한국인은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발병 확률이 서양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
이동녕 원장은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경우 급성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금방 광범위한 손상에 이를 수 있는 질환”이라며“괴사가 진행된 6개월 만에 빠르면 급성으로 4주 만에 심하게 진행되어 고관절 뼈가 주저앉은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통증 부위가 모호해 허리디스크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허리보다 허벅지 안쪽 통증 유무와 양반다리시 불편함 등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주요 증상은 엉덩이와 허벅지 사이 부분의 뻐근한 통증이다.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 이유 없이 가랑이와 엉덩이 부분이 아픈 증상이 1~2주 이상 지속되고 다리를 절게 된다면 초기증상을 의심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통증과 함께 절뚝거리며 걷게 되거나 대퇴골 괴사로 관절이 주저 앉아 다리가 조금 짧아지기도 한다. 고관절 질환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고 발병 후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약간의 의심 증상이라도 있다면 병원을 찾아 조기에 진단받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재범 기자 oldfield@donga.com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퇴행성 고관절염 환자는 9만3079명으로 이 중 약 17%인 1만5987명이 20~40대의 젊은층이었다. 같은 해 고관절 인공관절수술환자 3만175명 중에서도 973명이 20~40대 환자였다.
이동녕 목동힘찬병원정형외과 원장은 “고관절은 엉덩이에 위치한 골반뼈와 대퇴골을 잇는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로 체중을 지탱하고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며 “퇴행성 변화나 외상 등이 질환의 주요 원인이지만 음주나 혈관 손상 때문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인포그래픽|힘찬병원
퇴행성 고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닳아 염증이 생기고 통증, 변형, 부종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퇴행성이라는 표현 때문에 노년층에서만 생긴다고 오해하기 쉽지만 선천적 또는후천적 요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전 연령층이 주의해야 한다.
고관절은 몸통과 다리를 연결하고 몸을 움직일 때마다 체중을 지탱하고 걷고 뛰는 운동을 할 때 없어서는 안 되는 관절이다. 운동 범위가 넓고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퇴행성 변화도 빠르게 일어나는 부위다. 고관절은 이상이 생기더라도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가벼운 통증으로 여기기 쉽다. 그러나 관절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골절이 되거나 뼈끝이 자라면서 움직일 때마다 극심한 통증을 받을 수 있다.
다리를 자주 꼬고 앉거나 짝다리를 짚는 등 잘못된 자세를 습관적으로 반복하는 경우, 체중이 급격히 증가해 고관절의 압력이 높아져 무리가 온 경우, 평상시 과격한 운동 등이 퇴행성 고관절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젊은 환자들은 사고, 충돌 같은 외부 자극이나 운동으로 외상이 잦은 경우에 주로 남자들 사이에서 많이 발생한다.
●음주 잦으면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도 주의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도 젊은 층이 주의해야 할 고관절 질환이다. 대퇴골 위쪽 끝부분의 둥근 공 모양인 대퇴골두는 골반뼈와 함께 고관절을 이루고 있다. 대퇴골두로 향하는 혈관들이 막혀 영양분, 산소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 괴사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과도한 음주와, 스테로이드 복용 등이 괴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대퇴경부 골절이나 고관절 탈구 등의 외상, 신장질환과 간질환, 잠수병 등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음주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증가시켜 혈액이 쉽게 응고하게 만들어 미세 혈관들을 막아 괴사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술자리가 잦은 한국인은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발병 확률이 서양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
이동녕 원장은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경우 급성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금방 광범위한 손상에 이를 수 있는 질환”이라며“괴사가 진행된 6개월 만에 빠르면 급성으로 4주 만에 심하게 진행되어 고관절 뼈가 주저앉은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통증 부위가 모호해 허리디스크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허리보다 허벅지 안쪽 통증 유무와 양반다리시 불편함 등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주요 증상은 엉덩이와 허벅지 사이 부분의 뻐근한 통증이다.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 이유 없이 가랑이와 엉덩이 부분이 아픈 증상이 1~2주 이상 지속되고 다리를 절게 된다면 초기증상을 의심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통증과 함께 절뚝거리며 걷게 되거나 대퇴골 괴사로 관절이 주저 앉아 다리가 조금 짧아지기도 한다. 고관절 질환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고 발병 후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약간의 의심 증상이라도 있다면 병원을 찾아 조기에 진단받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재범 기자 oldfield@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