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악’ 지창욱 “시즌2 욕심나…구상은 이미 머릿속에” [인터뷰]

입력 2023-10-25 06:3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디즈니+ 드라마 ‘최악의 악’을 주연한 배우 지창욱은 “함께 연기 고민을 나누고, 상대의 연기에 자극 도 받으면서 큰 의지가 됐다”며 위하준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드러냈다. 사진제공|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니

디즈니+ 드라마 ‘최악의 악’ 주연 지창욱

남성팬들 부쩍…‘최악’ 덕분에 ‘최고’ 됐죠
배우 지창욱(36)과 위하준(위현이·32)은 “요즘 따라 남성 팬들이 부쩍 늘었다”며 웃었다. 헬스장에서는 몸 만드는 데 여념 없던 회원들도 다가와 “팬입니다”라며 고백하고, ‘강철부대’나 ‘피지컬: 100’ 등 체력 예능프로그램 출연자들은 한 행사장에서 이들을 줄지어 기다렸다가 함께 사진을 찍어갈 정도다. 두 사람이 뭇 남성들의 마음을 훔친(?) 것은 디즈니+ 드라마 ‘최악의 악’으로 짜릿하고 맹렬한 누아르의 매력을 드러낸 덕분이다. 이들은 각각 조직폭력배에 잠입한 경찰과 보스를 맡아 서로를 의심하고 속내를 숨기면서 숨 막히는 접전을 펼치고 있다. 지창욱과 위하준은 “비록 캐릭터들은 최악의 악으로 치닫지만, 우리는 최고 중 최고의 분위기로 촬영해 둘도 없는 형과 동생이 됐다”고 말했다.


●‘잠입수사관’ 박준모 역 지창욱


집단 패싸움 롱테이크로 촬영
7년 만에 액션 “너무 힘들어요”

지창욱이 맡은 박준모 캐릭터가 위하준이 이끄는 폭력조직 ‘강남연합’에 위장 잠입하는 이유는 오로지 “열등감” 때문이다. 엘리트 경찰 집안 출신인 아내 임세미와 자신을 비교하는 처가, 동료들의 무시에 시달리다 두 계급 특진이 걸린 위험한 임무를 덜컥 받아들인다.

“열등감이나 위로 올라가고 싶은 욕심은 인간의 원초적인 본능이에요. 저 또한 열등감이 있고, 사실은 자존감이 낮은 축에 속하는걸요. 카메라 앞에 선 저는 콤플렉스를 꼭꼭 숨기려 최선을 다한, 포장되어 있는 모습일 뿐이죠. 그래서 박준모가 와 닿았어요.”

그는 조직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으면서 점차 ‘괴물’로 변해간다. 아내가 떠올라 괴로운 와중에도 중국의 마약공장 유통책 김형서(비비)와 농도 짙은 키스를 나누는 베드 신은 박준모의 극적 변화를 드러내 특히 화제가 됐다.

“베드 신이 그동안 해온 작품들에 비해 수위나 분위기가 훨씬 짙었어요. 둘이 마주했을 땐 얼마나 많은 생각이 들었는지 몰라요. 그런데 극중 저를 리드하는 역할인 형서가 긴장했을 텐데도 애써 의연하게 대해줘서 너무나 편하고 고마웠어요.”

2016년 tvN ‘더케이투’ 이후 다시는 안 하겠다고 선언한 액션 연기에도 7년 만에 도전했다. 피 칠갑을 한 채 경쟁 조직과 패싸움을 벌이는 장면은 “롱테이크(끊지 않고 길게 찍는 촬영 기법)로 찍은 후 15분은 쉬어야 자리에서 일어날 수 있을 만큼 힘들었다”고 한다.

“저 액션은 또 안 할래요. 하하! 너무 힘들어요. 그런데 하고 나면 성취감이 확실히 달라요. 정통 누아르가 처음이어서 색다른 재미도 컸습니다. 몇 번이나 돌려본 영화 ‘친구’의 유오성 선배가 ‘관객들은 네 모습에 어색해할 수 있지만, 네가 맞다고 생각하면 밀어붙여’라고 조언해 줬어요. 힘이 많이 됐죠.”

지창욱은 4월에 드라마 촬영을 마친 직후 뮤지컬 ‘그날들’ 무대에 올랐다. 최근에는 영화 ‘리볼버’와 드라마 ‘웰컴투 삼달리’, ‘우씨왕후’ 등을 동시에 촬영하고 있다.

“솔직히 말하면 중간에 지쳐가고 있었어요. 그런데도 대본을 들고 현장에 가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 끊임없이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연기하고 싶어져요. 그렇다면 잠과 쉬는 날을 줄여서 해보자 싶었죠. 그 과정이 제겐 오히려 힐링이 됐어요.”

25일 최종화를 공개하는 ‘최악의 악’으로는 “최악의 끝을 보여주겠다”는 각오다. 시즌2에 대한 욕심도 숨기지 않았다.

“시즌2는 드라마 성과가 나온 후에 제작사에서 결정할 문제에요. 하지만 (위)하준이를 비롯해 우리 모두는 정말 행복하게 촬영했기 때문에 술 한 잔 기울이며 농담 식으로 ‘시즌2가 나온다면 이런 내용 어떠냐’며 한참을 이야기 했어요. 제가 구상한 내용은 도무지 제작하기 어려울 것 같아요. 그래도 혹시 아나요? 상상은 자유니까요.”

유지혜 기자 yjh0304@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