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미래 양식 산업 선도 위해 348억 ‘투자’

입력 2024-03-07 10:37: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충남도청 전경. 사진제공ㅣ충남도청

충청남도는 미래 양식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첨단 기술 지원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해 348억 원을 투입한다고 7일 밝혔다. 지능형(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미래 양식 산업에 집중하고, 김 등 지역 특화 품종 양성에 집중해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어촌 소멸에 대응한다는 목표다.

지난해 기준 도내 양식장 1,871개소에서 생산된 수산물은 5만 4,359톤으로, 2022년 예상치 5만 8,428톤보다 6.9% 감소한 수치다. 이 수치가 전국 생산량 230만 3,732톤 톤에 차지하는 비율은 2.3 %에 불과하다.

반면 국내 수산물 등 친환경 고단백 식품 수요는 2013년 414만 7,000톤에서 2017년 454만 1,000톤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22년에는 539만 7,000톤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도는 올해 양식산업의 안정적 성장 기반 구축을 목표로 종자산업, 환경관리, 생산관리, 미래 혁신 등 4개 분야 25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친환경 양식어업과 종자 배양장 및 해상·육상 양식장 생산 지원을 위해 16개 사업에 145억 원을 투입해 청정어장 재생, 인증 부표·가두리 시설 현대화·어장 진입로 등 양식시설 기반 조성을 추진해 어장 여건 개선에 나선다.

신규 사업으로는 고부가가치 대표 수산물인 해삼의 생산량을 늘리고 수출 지향형 고소득 품종으로 육성하기 위해 계단식 해삼 서식시설에 단계적으로 96억 원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지능형(스마트) 양식에 49억 원을 투입해 간척지 순환여과식 양식시설과 어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또한, 어업인 대상 양식 기술 보급, 실용 기술 교육, 양식시설 현대화 등을 통해 양식 환경을 개선하는 등 내수면 양식 발전을 위해 32억 원을 지원한다. 양식 수산물 소비와 수출 촉진을 위해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행정 활동에 26억 원을 투입한다.

도는 양식어업 생산량은 5만 7,077톤, 생산액은 1,412억 원으로 전년 대비 5% 확대하고 2010년 3,526가구, 8,089명에서 2022년 1,848가구, 3,714명으로 절반 이상 줄어든 양식어가 수를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 장진원 해양수산국장은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수산양식 기반 구축을 통해 소비자가 찾는 수산물 생산에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앞으로 양식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적극 활용하는 등 변화되는 환경에 맞춰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라고 말했다.

스포츠동아(충남)|장관섭 기자 jiu6703@naver.com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