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예비군 훈련장 60년 그린벨트보다 “더 무서운 고립된 마을 전락”
▲김동근 시장, 예비군 훈련장 “당초 관외 이전 추진 했다가 안되자 의정부로 설치”
▲대책위 “김동근 시장 소각장 약속· 믿음 깨져”… “지하화 안되면 원천 무효 주장”
▲市, 소각장 “당초 지하화 방침”.. 예비군 훈련장은 공론화를 거쳤다.
▲김동근 시장, 예비군 훈련장 “당초 관외 이전 추진 했다가 안되자 의정부로 설치”
▲대책위 “김동근 시장 소각장 약속· 믿음 깨져”… “지하화 안되면 원천 무효 주장”
▲市, 소각장 “당초 지하화 방침”.. 예비군 훈련장은 공론화를 거쳤다.

의정부시 자일동 주민들이 20일 의정부시청 브리핑룸에서 “자일동 쓰레기소각장, 예비군 훈련장 건설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제공ㅣ고성철 기자
의정부시 자일동쓰레기 소각장대책위원회(회장 조득현)는 20일 의정부시청 브리핑룸에서 “자일동 쓰레기소각장, 예비군 훈련장 이전이 당초 주민들 의사를 무시하고 약속을 어겨 신뢰를 잃었다”며 소각장, 예비군 훈련장 완전 백지화를 주장하며 집단 행동에 나설 전망이다.
소각장 대책위원회는 김동근 시장이 2023년 7월 시민공론장을 통해 시내 각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모아 쓰레기소각장을 완전히 지하화하고 굴뚝 높이를 최대화, “해당 지역의 랜드마크화 등을 전제로 자일동에 쓰레기소각장을 추진키로 해놓고 이에 대한 후속 약속을 어기고 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대책위는 지난 4월 15일 시청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에서 소각시설을 지하에 건설하려면 암반을 파내는데 건설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를 거론하고, 건설비용 문제를 제기한 의도가 소각시설을 반지하화하고 지상에 크레인을 설치하는 것에 의심을 품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책위는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적정성 검토를 의뢰한 지하화(1안) 반지하화(2안) 지상화(3안)의 내용을 주민들에게 알려주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책위는 “시가 애초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자일동 쓰레기소각장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며 국가권익위에 주민들 억울함을 호소 할 것이다.”
또 추진현황을 공개하고 “앞으로 소각장 관련 보고서를 공개 할 것을 요구했다.”
주민들은 “자일동에 예비군훈련장을 설치하는 과정에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부 주민들만 공론장에 참여시켜 명분을 쌓은 뒤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김동근 시장이 “훈련장을 의정부시를 떠나 관외로 추진 했으나, 시는 국방부·인근시 등 협조가 안되어 의정부에 잔류하게 됐다”고 밝혔다.
조득현 대책위 위원장은 “김동근 시장은 내년 6월이면 시장이 끝이다. 지금까지 하나도 된 것이 없다. 후보시절 몇차례 방문하고 마을 요구 사항을 모두 들어주겠다고 말했다.
의정부ㅣ고성철 스포츠동아 기자 localkb@donga.com
고성철
Copyright © 스포츠동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공유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