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꼬무’ 주호민 당당하게 등장시킨 이유 “MC 아니니까” (종합)[DA:스퀘어]

입력 2023-07-28 10:21: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DA:이슈 - 연예계 화제를 다루는 코너



특수교사를 아동학대 혐의로 고소한 웹툰작가 주호민가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약칭 ‘꼬꼬무’) 게스트로 출연한 가운데 해당 편이 방송 직후 논란에 휩싸였다.

27일 방송된 ‘꼬꼬무’ 어느 날 내가 사라졌다 편에는 스토리텔러(MC) 장도연과 이야기를 주고받을 리스너(게스트)로 주호민이 등장했다. 이날 주호민은 다른 웹예능에서 보여주던 호들갑 대신 침착한 상태에서 장도연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

문제는 제작진의 편집 방식이다. 주호민에게 불필요한 CG(컴퓨터 그래픽)를 첨가하는 등 다른 게스트로 편집 분량을 유도할 수 있음에도 주호민 노출을 노린 것. 이는 방송 직후 편집 논란으로 번졌다. 시청자 게시판에는 차라리 편성을 미루거나 상황을 지켜본 뒤 방송하는 게 나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사실 이날 방송에 앞서 SBS는 문제인식 수준이 결여됐음을 보여줬다. SBS 관계자는 주호민과 관련해 해당 편 편성 등을 문의하자, “MC가 아니고 일회성 출연이니 괜찮지 않냐”고 반문했다. 편집 방향성에 대해 묻자 관계자는 “통편집은 없다. 다만, 부분적으로 편집은 할 수 있다. 최대한 시청자가 불편하지 않게 편집을 진행할 예정이다. 방송 전까지 자체 검열을 진행하고 보통 당일 방송 1시간 전까지 편집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편성 교체가 쉬운 것도 아니지만, 주호민이 MC(스토리텔러)도 아니지 않나. 일회성 출연인데 이게 문제가 되나 싶다. 분위기를 생각해 주말 재방송은 없을 예정”이라고 이런 질문 자체가 불쾌하다는 듯 답했다.

결국 이런 안일한 사고방식으로 방송을 강행했고, 방송 직후 편집에 대한 지적이 쏟아졌다. 분위기를 의식한 SBS는 파워FM ‘배성재의 텐’의 코너 ‘말년이 편한 소인배 판단소’ 방송 일정을 보류했다. 그러나 대중에게 좋은 이미지로 각인된 ‘꼬꼬무’ 이미지는 주호민이라는 이름 석 자로 타격을 입게 됐다. 편성을 미루거나 편집이라도 정성을 보였다면 어땠을까. 마지막까지 노력한 이들만 뿔난 시청자들에게 화살받이가 되고 있다.

그리고 이 사태를 지켜보는 tvN ‘라면꼰대’ 여름캠프 편도 여론 눈치를 보고 있다. 일회성으로 TV 편성을 내달 4일 결정했지만, 하필 그 특집에 주호민이 등장한다. 통편집이 아니라면 사실상 편성을 미룰 수밖에 없다. 입장을 문의했지만, 사태를 지켜보고 최종적으로 결정된 입장을 발표하겠다는 말만 되풀이 중이다.

한편 주호민이 지난해 아들을 학대했다며 아들이 다니던 학교 특수교사를 아동학대 혐의로 고소한 사실이 26일 뒤늦게 알려졌다.

주호민 아들은 지난해 9월 사건이 일어나기 전, 장애가 없는 학생들과 수업을 듣던 중 여학생 앞에서 바지를 내려 분리 조치된 상황이었다.

이에 대해 주호민은 27일 입장문을 통해 “지난해 9월 저희 아이가 돌발 행동으로 인해 특수학급으로 분리조치되어 하루종일 특수학급에서 교육을 받게 됐다. 그런데 사건 당일부터 지속적으로 평소와 다른 매우 불안한 반응과 두려움을 표현했고, 등교도 거부했다”며 “초등학교 2학년인 발달장애 아동 특성상 정확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했고, 특수학급에는 장애아동만 수업을 받기에 상황을 전달받을 방법이 없었지만 확인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녹음에는 단순 훈육이라 보기 힘든 상황이 담겼고, 큰 충격을 받았지만, 우선은 주관적 판단이 아닌 객관적 관점에서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하고자 외부 자문을 구했다. 총 5명의 변호사 및 용인경찰서 아동학대 담당관과 상담을 거쳤고, 우리는 경찰 신고보다는 학교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지만, 교육청 및 학교에 문의해본 결과 정서적 아동학대의 경우 교육청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교사를 교체하는 것은 어려우며, 사법기관 수사 결과에 따라서만 조치가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게 됐다. 그래서 고민 끝에 경찰에 신고하게 된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주호민 입장은 또 다른 불씨가 됐다. 주호민 입장문 내용과 달리 동료 교사, 다른 학부모들은 특수교사 편을 들었다. 대화조차 없이 일방적으로 고소 고발이 이루어졌다는 증언이다.

그리고 이 문제는 최근 학부모들의 교권 침해 행위에 대한 논란까지 더해지면서 무너진 교권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로 번지는 상황이다.

동아닷컴 홍세영 기자 projecthong@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