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우면 늘어나는 급성요통, 만성척추질환 겨울 악화”

입력 2023-12-25 13:55: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중년의 허리통증

바른세상병원 “재발 많은 허리통증, 지속기간 따라 치료계획 달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척추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940만 9894명이다. 국민 5명 중 1명은 척추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셈이다. 연령별로 보면 40대 이상 환자가 78.3%이며 40대부터 여성 환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이상에서는 남성보다 여성 환자의 비율이 2배 이상 높았다. 갱년기 이후 여성이 척추 질환에 가장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겨울철, 급성요통이나 만성허리통증 악화 주의

급성요통은 무거운 물건을 허리 힘으로만 들다 갑자기 근육이 놀라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요즘처럼 추운 날에는 척추를 둘러싼 근육과 인대가 뻣뻣해져 뼈와 신경조직을 압박하기 때문에 급성요통의 위험이 높아진다. 보통은 단순한 근육통일 수도 있지만 평소 척추가 약해진 상태면 허리 디스크로 진행될 수도 있다.
겨울 낮은 온도는 관절의 유연성도 떨어뜨리고, 원활한 혈액순환에도 지장을 주기 때문에 허리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 등 만성척추질환 환자들이 다른 계절에 비해 통증을 쉽게 느낄 수 있다. 척추 질환에 취약한 50대 여성의 경우 겨울철을 맞아 허리보호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허리통증은 지속기간에 따라 6주 이하면 급성, 6~12주까지 아급성, 12주 이상 통증이 지속될 경우 만성 요통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요통의 약 70%는 허리가 삐끗한 상태를 말하는 염좌로 보통 2주 내에 50~60%는 호전되고, 90%가 3~4개월 안에 호전된다.
하지만 한번 요통이 생기면 다시 아플 확률이 높다. 60~80%가 2년 내에 재발하고, 만성 통증으로 자리잡을 가능성도 있다. 만성요통은 척추를 지탱하는 크고 작은 근육들에 의해 말초 신경이 눌려 통증이 발생하고, 통증 때문에 근육들이 뭉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때문에 환자들은 불편함을 심하게 느끼고, 시간이 지날수록 일상생활이 힘들어진다. 따라서 요통은 초기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민성훈 바른세상병원 척추센터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요통은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저절로 낫기도 하고, 휴식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고 충분한 휴식에도 2주 내 통증이 호전되지 않으면 약물이나 주사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다”며 “하지만 6개월 이상 통증이 지속되는 만성요통이라면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만성요통 환자의 경우 추간판탈출증(디스크)과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런 경우 증상에 따라 신경 주위의 염증을 치료하면서 유착을 제거하는 경막외감압술을 통해 통증이나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증상이 심하면 뼈와 신경, 근육 등에 손상을 주지 않고, 회복이 빠른 척추 내시경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겨울철 허리통증 절감 생활 수칙

- 체온조절이 중요하다. 외출할 때뿐만 아니라 실내서도 허리와 배를 감싸는 등 보온에 신경 쓰고, 통증이 느껴지면 온찜질을 하는 것이 도움된다.
- 춥다고 활동량을 줄이고 움츠리면 근육에 긴장이 지속되므로 허리를 쭉 펴주고 가볍게 돌려주는 스트레칭으로 몸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 바른 자세와 운동으로 허리 근력을 단련해 두는 것이 좋으며, 급작스러운 동작은 피하도록 한다. 운동하기 힘들다면 생활에서 활동량을 늘려 근육과 인대를 유연하게 하며 몸을 움츠리는 자세나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 것은 혈관수축과 혈액순환장애를 일으켜 허리 통증을 악화시키므로 주의해야 한다.

스포츠동아 김재범 기자oldfield@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