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러윈 데이의 유래, 귀신으로 분장하는 이유는?…“아하 그렇구나!”

입력 2014-10-31 17:43: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핼러윈 데이 유래' 사진출처|SBS 방송화면 캡처

'핼러윈 데이 유래' 사진출처|SBS 방송화면 캡처

'핼러윈 데이의 유래'

10월31일 핼러윈 데이(Halloween Day)를 맞아 그 유래에 대해 네티즌의 관심이 뜨겁다.

핼러윈데이는 서양에서 10월 31일 귀신분장을 하고 치르는 축제다. 영국, 북유럽, 미국 등에서는 큰 축제일로, 기원전 500년경 아일랜드 켈트족 풍습인 삼하인(Samhain) 축제에서 유래됐다.

켈트족의 새해 첫날은 11월 1일인데, 그들은 사람이 죽어도 그 영혼은 1년 동안 다른 사람의 몸 속에 있다가 내세로 간다고 믿었다. 그래서 한 해의 마지막 날인 10월 31일, 죽은 자들은 앞으로 1년 동안 자신이 기거할 상대를 선택한다고 여겨, 사람들은 귀신 복장을 하고 집안을 차갑게 만들어 죽은 자의 영혼이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고 한다.

그러다 로마가 켈트족을 정복한 뒤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교황 보니파체 4세가 11월 1일을 '모든 성인의 날(All Hallow Day)'로 정하면서 그 전날이 '모든 성인들의 날 전야(All Hallows Eve)'가 됐다. 이 말이 훗날 '핼러윈(Halloween)'으로 바뀌어 오늘날에 이르게 된 것이다.

누리꾼들은 이 같은 소식에 "핼러윈 데이의 유래, 핼러윈 데이가 맞는 표현이군" "핼러윈 데이의 유래, 신기하다" "핼러윈 데이의 유래, 나도 사탕주세요"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핼로윈 데이는 외국어 표기법 상 '할로윈'이 아닌 '핼러윈'으로 표기한다.

동아닷컴 온라인뉴스팀 기사제보 star@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